[칼럼 - 김양하] 주민과 함께, 지역을 바꾸는 힘은 ‘소통’과 ‘연대’에서 나온다.

▲김양하 ⓒ한국공공정책신문

 [한국공공정책신문=김유리 기자] 지역을 위한 정치는 특별한 수식어보다 생활 속 작은 실천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지역에서 오래 살아온 사람일수록, 주민들의 고민을 가장 가까이에서 느끼게 된다. 마을의 골목길이 어두운 이유, 노인복지관의 식사가 부족한 이유,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지역을 떠나는 이유가 그저 뉴스 속 숫자로만 보이지 않는다. 이는 동네를 살아가는 이웃들의 생활 문제이며, 그 누구보다 정치가 가장 먼저 귀 기울여야 할 목소리이다.

 

특히 안양은 급속히 성장한 도시이면서도, 낡은 인프라와 고령화, 청년유출, 일자리 문제 등 다양한 과제를 안고 있다. 주민들은 이제 더 이상 행정의 일방적 통보가 아니라, 자신이 정책의 주체가 되길 바라고 있다. 주민참여예산, 마을계획단, 시민토론회 등 여러 시도가 있었지만, 여전히 실질적인 참여로 이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겉으로는 참여를 말하지만, 속으로는 소외가 남아 있는 것이다.

 

정치는 더 낮은 곳으로 내려가야 한다. 주민의 말을 듣는 데서 멈추지 않고, 그 목소리를 정책으로 실현하는 데까지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진심 어린 소통이 필요하며, 정당과 정치인이 먼저 열려 있어야 한다.

 

사회적경제는 이러한 시대 변화에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단순한 복지정책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지역 일자리 문제, 돌봄 문제, 청년 창업 문제 등은 사회적경제 조직의 참여를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은 이윤보다는 사람 중심의 가치를 우선하며, 지역의 자원을 지역 안에서 선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아직 제도적 기반은 부족하며, 공공의 지원도 제한적이다. 지방정부 차원에서 사회적경제를 적극 육성하고, 지방의회도 이에 대한 이해와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 사회적경제위원회에서 활동하면서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들을 기회가 많았다. 지역에서 묵묵히 공동체를 위해 일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법과 제도가 그들의 노력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제 지방의회는 이러한 변화를 감지하고, 지역경제의 새로운 축으로서 사회적경제를 바라보아야 한다. 특히 중소도시인 안양과 같은 곳에서는 이러한 시도가 더욱 절실하다.

 

정치는 결국 사람을 위한 일이다. 권력이나 자리를 위한 것이 아니라, 주민과 함께 지역의 더 나은 내일을 설계하는 과정이어야 한다. 지역에서 태어나고 자란 이들이 다시 돌아오고 싶은 도시, 아이를 키우기 좋은 도시, 노후가 불안하지 않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정책도, 예산도, 의회도 모두 주민 중심으로 다시 설계되어야 한다.

 

이제 정치는 더 많이 말하는 것이 아니라, 더 깊이 듣고 함께 실천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그것이 주민과의 진짜 소통이며,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의 출발점이다.



김양하

한국공공정책신문 이사

더불어민주당안양시/동안구갑 사회적경제위원장



작성 2025.08.27 15:26 수정 2025.08.27 15:28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공공정책신문 / 등록기자: 김유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