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디지털 범죄, 예방은 선택 아닌 필수!"

디지털 환경에 노출된 10대, 범죄의식은 부족하다

예방교육, 학교·가정·지역사회 연계가 관건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 부재… 제도적 대안 절실

스마트폰은 청소년들의 필수품이 된 지 오래다. SNS, 메신저,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소통하고, 정보를 얻으며, 여가를 보내는 시대. 그러나 그 일상 속에는 디지털 범죄라는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져 있다. 

 

불법 촬영물 공유, 사이버 괴롭힘, 개인정보 도용 등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범죄가 청소년 사이에서 급증하고 있으며, 그 심각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많은 청소년들은 이러한 행위가 범죄라는 인식조차 없는 상태에서 행동에 옮기고 있는 실정이다.

[사진 출처: 챗gpt 이미지]

이에 대해 청소년 디지털범죄 예방교육 전문가 이택호 강사(수원대학교 교수)는 “청소년들이 온라인 공간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만큼, 그에 따른 책임과 윤리에 대한 교육이 절실하다”“디지털 공간에서도 ‘법’과 ‘도덕’은 분명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식시켜야 한다”고 설명한다.


 

‘디지털 네이티브’로 불리는 요즘 청소년들은 어린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스마트폰과 인터넷 환경에 노출되어 자란다. 하지만 이러한 익숙함이 오히려 경계심을 무디게 만들고, 범죄 행위에 대한 분별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청소년의 디지털 범죄 연루 사례는 전년도 대비 15% 증가했다. 대부분은 자신이 범죄를 저질렀다는 인식 없이 행위에 가담한 사례다.

 

이택호 교수는 “청소년들은 사이버 공간이 현실과 분리된 공간이라 생각하기 쉽다”며 “그로 인해 ‘디지털 범죄는 장난’이라는 왜곡된 인식이 형성된다”고 지적한다. 이 교수는 이어 “교육을 통해 사이버 공간에서도 명확한 법적 책임이 따른다는 점을 반복적으로 인지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일부 학교에서는 정보 윤리와 사이버폭력 예방에 관한 교육이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단발성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교사들 또한 디지털 범죄 예방에 대한 전문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현장에서의 실효성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이택호 강사는 “예방교육은 학교 혼자만의 일이 아니다”라며 “가정과 지역사회, 공공기관이 함께 연계되어 아이들이 일상 속에서 디지털 윤리와 법적 책임을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그는 특히 “부모도 자녀의 디지털 사용 방식에 관심을 가지고, 함께 학습하고 대화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현재 교육부와 여성가족부 등에서 시행하는 디지털 관련 교육 프로그램은 일부 존재하나, 그 운영 방식이 비정기적이고 지역 간 편차가 크다. 무엇보다도 청소년들의 눈높이에 맞춘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이택호 교수는 “실제 현장에서 교육을 해보면, 청소년들이 가장 반응하는 콘텐츠는 ‘실제 사례’와 ‘시뮬레이션 상황’”이라며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참여형·체험형 교육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설명한다. 그는 “지속 가능한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청소년 눈높이에 맞는 디지털 범죄 예방 교육 콘텐츠를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청소년 디지털 범죄는 단지 일부의 일탈이 아니다. 사회가 함께 책임지고 예방해야 할 구조적 과제다. 특히 예방교육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그 중심에는 학교, 가정, 지역사회, 그리고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협력체계가 있어야 한다.

 

이택호 강사(수원대학교 교수)는 “청소년 디지털 범죄 예방교육은 지금 당장 시작해야 하는 사회적 과제”라며 “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이 디지털 공간에서도 성숙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우리가 할 일”이라고 강조한다.

 

 

 

 

 

 

작성 2025.08.25 17:30 수정 2025.08.25 17:31

RSS피드 기사제공처 : 라이프타임뉴스 / 등록기자: 이주연 정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