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 나만의 브랜드 정체성(BI/CI) 만들기
부제: 내 사업의 개성을 한눈에 각인시키는 비밀

1. 왜 브랜드 정체성이 중요한가?
고객은 물건을 사기 전, 반드시 마음속에 한 가지 질문을 던집니다.
“이 브랜드, 믿을 수 있을까?” “여긴 내 취향일까?”
이 판단은 가격표를 보기 전, 설명을 듣기 전, 심지어는 상품을 만져보기도 전에 이미 끝나버립니다.
그 결정적인 순간을 만드는 것이 바로 브랜드 정체성입니다.
간판, 로고, 색상, 이름, 매장 분위기, 온라인 프로필 이미지까지—이 모든 요소가 합쳐져 ‘첫인상’을 만듭니다.
첫인상이 좋은 브랜드는 고객이 더 알아보고 싶게 만듭니다. 반면, 평범하거나 정체성이 불분명한 브랜드는 경쟁자 속에 묻혀버립니다.
광고비를 많이 써도 반응이 적고, 리뷰가 쌓여도 차별화가 안 되죠.
그래서 우리는 지금 BI(Brand Identity)와 CI(Corporate Identity)를 이해하고, 우리 사업만의 독창적인 이미지를 설계해야 합니다.
이것이 곧 고객의 기억 속에 오래 남는 방법이며, 장기적으로 광고비를 줄이고 재구매율을 높이는 핵심 전략이 됩니다.
2. BI와 CI의 개념과 차이
① BI – Brand Identity
BI는 고객이 브랜드를 보고 떠올리는 이미지와 감정을 말합니다.
이것은 단순한 시각 디자인이 아니라, 우리 브랜드가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 고객의 머릿속에 심어주는 작업입니다.
이유: 사람은 로고나 색상을 단순히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스토리와 감정을 느낍니다.
좋은 예:
카카오프렌즈 – 캐릭터 중심의 친근하고 귀여운 이미지, 제품·매장·광고까지 일관된 톤
제주 감귤농원 브랜드 – 주황과 초록의 컬러 조합, ‘제주에서 온 달콤함’이라는 슬로건으로 신선함과 지역성을 강조
나쁜 예:
‘OO상점’ – 이름만 봐서는 무엇을 파는 곳인지 전혀 알 수 없음
색상·폰트·디자인이 홍보물마다 제각각이라 통일감이 없음
② CI – Corporate Identity
CI는 기업이나 사업체의 철학, 비전, 문화를 시각적으로 통일해 표현하는 체계입니다.
로고, 색상, 글꼴, 슬로건, 심지어 유니폼과 간판까지 모두 포함되며, 채널마다 동일한 이미지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유: 고객은 반복적으로 동일한 이미지를 볼 때 신뢰를 느낍니다. 일관성 없는 디자인은 신뢰를 깨뜨립니다.
좋은 예:
삼성 – 파란색 로고와 깔끔한 서체, 모든 제품·광고·간판에서 동일한 이미지로 ‘신뢰’와 ‘안정감’을 전달
지역 종합병원 – 파스텔 블루·화이트 조합, ‘안심 진료’ 문구를 모든 인쇄물·간판·홍보물에 사용
나쁜 예:
명함·간판·유니폼의 색상이 제각각 → 브랜드 혼란 유발
캠페인 때마다 로고와 슬로건이 바뀌어 고객 기억 속에 각인되지 않음
3. BI/CI가 중요한 이유
▶ 첫인상의 힘 – 고객은 3초 안에 ‘관심’ 또는 ‘무관심’을 결정합니다.
▶ 차별화 – 같은 상품, 같은 서비스 속에서도 나만의 개성을 보여줍니다.
▶ 신뢰 형성 – 일관된 이미지는 안정감을 주고 구매로 이어집니다.
▶ 광고 효율 향상 – 브랜드 인지도가 높을수록 광고비 대비 효과가 커집니다.
4. 업종별 성공·실패 사례
| 업종 | 좋은 예 | 특징 | 나쁜 예 | 문제점 |
| 카페 | 블루보틀 – 파란병 로고, 미니멀 인테리어 | 세련·프리미엄 이미지 | ‘OO커피’ | 차별화 부족 |
| 치킨집 | 고추킹 – 강렬한 빨강·고추 캐릭터·유머러스 슬로건 | 인증샷·SNS 공유 유도 | ‘OO치킨’ | 검색 경쟁 심함 |
| 전자제품 쇼핑몰 | Apple – 사과 로고·심플 패키지 | 혁신·프리미엄 이미지 | ‘전자제품몰123’ | 전문성 부족 |
| 미용실 | 루프헤어 – 골드·블랙, 고급 간판 | 프리미엄 살롱 이미지 | ‘동네미용실’ | 가격 외 차별화 어려움 |
| 꽃집 | 라일락모먼트 – 보라색 테마·시즌별 포토존 | SNS 공유·재방문 유도 | 무로고·무컬러 | 온라인 홍보 약함 |
| 반찬가게 | 반찬이야기 – 전통 서체·갈색 톤 | 정갈·신뢰 이미지 | ‘OO반찬’ | 브랜드 인식 약함 |
| 당근마켓 판매자 | 오렌지펫 – 강아지 캐릭터·주황 테마 | 친근·지역밀착 | 무닉네임·무이미지 | 단골 확보 어려움 |
5. 내 사업에 적용하는 방법
① 브랜드 진단
내 상호, 로고, 색상, 글꼴, 슬로건을 하나씩 점검합니다.
핵심 질문: “이 요소들이 모두 연결되어 하나의 이미지로 보이는가?”
좋은 예: 청춘분식 – 레트로 폰트·빨강+노랑 컬러, ‘옛날맛 그대로’ 슬로건
나쁜 예: 상호·컬러·로고가 경쟁사와 거의 동일 → 고객 혼란
② 브랜드 시트 작성
하나의 페이지에 다음 내용을 정리합니다.
브랜드 이름 , 슬로건, 대표 색상, 로고 아이디어, 고객에게 남길 느낌,
AI 활용 팁
ChatGPT: “OO 업종에서 신뢰·친근·프리미엄 이미지를 줄 수 있는 상호·슬로건 5개 추천”
Canva·미드저니: 간단한 로고 시안 제작 후 색상코드와 폰트 기록
6. AI 활용 로고·슬로건 제작 가이드
ChatGPT로 브랜드 핵심 키워드 5~10개 도출
Canva에서 로고 디자인, 색상 코드·폰트 저장
미드저니/빙 이미지로 캐릭터·패턴 생성
SNS·전단지·명함·간판에 동일 적용
좋은 예: 동일한 색상·폰트를 전 채널에 적용 → 고객이 한 번에 인식
나쁜 예: 채널마다 색상·폰트 다름 → 브랜드 인지도 약화
7. 요약 표 – BI/CI 핵심 정리
| 구분 | 의미 | 주요 요소 | 좋은 예 | 나쁜 예 |
| BI | 브랜드 이미지·감정 | 상호, 로고, 색상, 톤 | 카카오프렌즈 | OO상점 |
| CI | 기업 철학·문화 | 로고, 슬로건, 디자인 통일 | 삼성 | 통일성 없는 디자인 |
브랜드 정체성은 단순한 ‘겉모습’이 아니라, 고객이 우리를 신뢰하고 다시 찾게 만드는 약속입니다.
한 번 각인된 이미지는 가격 경쟁을 이기고, 광고를 하지 않아도 고객이 스스로 찾아오게 합니다.
BI/CI는 대기업만의 특권이 아닙니다.
작은 가게, 1인 기업, 온라인 판매자라도 자신만의 색깔과 개성을 만들면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
지금 로고 스케치 한 장, 색상 코드 하나, 슬로건 한 줄이 앞으로 1년, 5년 뒤 여러분의 브랜드 가치를 결정짓고, 여러분의 상호와 로고, 색상을 다시 한 번 바라보세요.
그리고 ‘이게 과연 내 브랜드를 제대로 설명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스스로 답해보세요.
그 답이 ‘아니오’라면, 지금 바로 바꾸는 것이 최선입니다.
여러분의 브랜드가 누군가의 기억 속에서 오래 빛나기를 바랍니다.
그 시작은 바로 오늘, 이 순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