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과 명상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아트 페스티벌 ‘마인드 붐 2025: 우리는 여전히 자유를 연습한다’가 9월 5일부터 11월 2일까지 폴란드 바우브지흐에 위치한 바우브지흐 미술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서울특별시와 폴란드 하부실레시아주, 피스모 아르티스티츠네 포르마트가 후원하고 글로벌평화예술문화재단, 포토젠 갤러리 오키스, 비더블유에이가 공동 주최한다.
올해는 한국의 광복 80주년과 폴란드의 승전 기념 105주년이 겹치는 해다. 주최 측은 이번 전시가 두 나라가 쟁취한 독립의 의미를 되새기고, 자유라는 개념을 더 넓은 차원에서 탐구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시에는 한국과 폴란드를 비롯해 10개국 14명의 작가가 참여한다. 정은영 작가는 여성국극의 역사를 비판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을 선보이고, 남다현 작가는 환전소 프로젝트를 통해 일상의 가치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정가희 작가는 할머니의 뇌파를 도자기로 시각화한 작품을 통해 개인의 기억과 역사를 물질적 유산으로 전환하는 시도를 보여준다.
폴란드 작가들의 작업도 주목된다. 알라 사바셰비치는 섬유를 활용해 기념비적 상징을 비판적으로 재해석하며, 유제프 로바코브스키는 신체와 기술, 공동체의 상호작용을 다룬 퍼포먼스 영상 ‘나는 전기다’를 소개한다. 이고르 부이치크는 직관적 사변과 현상학적 예술 개념을 바탕으로 물질과 이미지 사이의 긴장을 탐구한다.
전시는 저항, 현존, 놀이, 해체, 성찰의 몸짓 등 다섯 개 섹션으로 구성된다. 각 섹션은 작가들이 자유를 개별적으로 해석한 결과물로 관람객에게 다양한 시선을 제공한다.
글로벌평화예술문화재단 김해다 대표는 “정치적·물리적 해방을 이룬 지 수십 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문화적 관습과 인식 구조 속에서 보이지 않는 경계가 존재한다”며 “참여 작가들은 익숙한 질서를 흔들고 새로운 사유의 가능성을 탐색한다”고 말했다.
강제욱 전시감독은 “자유란 완성된 상태가 아니라 끊임없는 과정이며, 춤처럼 용기와 집중, 상상력이 요구되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