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재정부가 서울 성수동 옛 경찰기마대 부지를 활용해 약 400호 규모의 청년임대주택과 창업·문화 복합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국유지를 활용한 청년 주거 안정과 지역 활성화를 동시에 노린다.
기획재정부(안상열 재정관리관)는 14일 오후 서울 성수동 옛 경찰기마대 부지를 방문해 ‘국유지·노후 공공청사 활용 청년·서민 공공주택 공급 확대’ 방안에 관한 현장 간담회를 열었다. 이번 논의는 지난 12일 발표된 「2026년 국유재산종합계획」 후속 조치로, 경찰청, 한국자산관리공사, 민간 전문가가 참석해 추진 계획을 구체화했다.
옛 경찰기마대 부지는 1972년부터 경찰기마대와 마장으로 운영되다 2024년 2월 해체 이후 일부 공간만 임시 활용 중이다. 정부는 이 부지를 상징성과 창의성을 갖춘 대표적인 청년주거 공간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주거공간에는 약 400호 규모의 청년임대주택이 들어서며, 공용공간은 커뮤니티존으로 조성해 팝업스토어, 전시·예술 공간 등 청년 창업·문화 활동을 지원할 예정이다.
민간사업자가 토지 매입 부담 없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50년 장기대부(갱신 허용) 방식으로 부지를 제공해,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료를 책정한다는 방침이다. 사업은 2025년 하반기 사업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민간사업자 선정, 설계·인허가 절차를 거쳐 2028년 착공, 2030년 준공을 목표로 한다.
안 재정관리관은 “성수동 옛 경찰기마대 부지 개발은 유휴 국유지 활용과 청년 주거 안정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선도사례”라며, “경찰청·한국자산관리공사 등과 긴밀히 협력해 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고 청년 주거 지원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