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이식 신세계 3D 바이오 프린팅

알아두면 득이 되는 의학 정보

동물 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윤리적인 대안으로도 주목

3D 바이오 프린팅, 장기 이식의 미래를 바꾸다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수많은 환자들에게 희망을 안겨줄 혁신적인 기술, 바로 3D 바이오 프린팅이다. 

 

이 기술은 환자 본인의 세포를 재료로 이용해 실제 장기와 유사한 조직이나 기관을 3D 프린터로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가장 큰 장점은 이식 거부 반응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기존 장기 이식은 면역억제제 복용이 필수적이었지만, 3D 바이오 프린팅은 환자 자신의 세포를 사용하므로 이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현재는 피부, 연골, 혈관 등 비교적 단순한 조직을 만드는 수준이지만,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교 연구팀은 심장과 같은 복잡한 장기까지 만들어내는 연구를 진행하며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고 있다. 

 

이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장기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이식 대기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생명을 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동물 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윤리적인 대안으로도 주목받고 있으며, 신약 개발 과정에서 약물의 효과와 독성을 미리 예측하는 데 활용될 가능성도 크다.

작성 2025.08.05 10:30 수정 2025.08.05 11:07

RSS피드 기사제공처 : 메디컬라이프 / 등록기자: 김유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