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건물 용도별 에너지 사용량 첫 공개

기준년대비 6.9% 감소·전년대비 3.9% 증가, 세종·제주·전남 사용 급등

출처;imagfx 석홍화기자

국토교통부가 30일 ‘2024년 건물에너지 사용 통계’를 발표했다. 2018년을 기준년으로 삼아 전국 모든 건물의 에너지 총사용량, 용도별·지역별 원단위(㎡당 에너지 사용량)까지 국가승인통계(2025.1)로 공식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총사용량은 3.9% 늘었으나 단위면적당 사용량은 기준년 대비 6.9% 줄었다.

 

국토교통부는 기존 총사용량 통계에 용도별·지역별 원단위 지표를 더해 건축물 에너지 관리의 표준값을 제시했다. 원단위는 단위면적(㎡)당 에너지 사용량의 중앙값으로, 건물 종류와 위치에 따른 합리적 비교·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공동주택(아파트) 표준 원단위

중부지역 136 kWh/㎡

남부지역 111 kWh/㎡

 

업무시설(사무소) 표준 원단위

중부지역 159 kWh/㎡

남부지역 102 kWh/㎡

 

1. 총사용량: 37,275 천TOE … 전년比 3.9% ↑

2024년 전국 건물 에너지 총사용량은 37,275 천TOE로, 2023년보다 3.9% 증가했다. 세부 에너지원별 증감은 다음과 같다.

에너지원증감률(’24/’23)
전기+8.3 %
지역난방+0.9 %
도시가스–1.8 %

2. 단위면적당 사용량: 폭염으로 전기 2.3 % ↑ … 기준년比 6.9 % ↓

냉방도일*이 82.3 % 급증하면서 전력 사용량이 전년 대비 2.3 % 늘었다. 그럼에도 2018년과 비교하면 단위면적당 에너지 사용량은 6.9 % 감소했다.
*냉방도일: 일평균기온이 기준온도(24 ℃)를 초과한 정도를 월별 합산한 값.

 

3. 지역별 총사용량 변동

전국 모든 지역에서 사용량이 늘었다. 특히

세종 +9.7 %

제주 +8.9 %

전남 +8.5 %

 

4. 용도별 총사용량 변동

운동시설 +18.1 %, 관광휴게시설 +15.6 %가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단독주택 –1.3 %, **위락시설 –24 %는 감소했다.

 

5. 지역별 단위면적당 사용량

대부분 지역이 증가했으나

대구 –4.4 %, **충북 –0.9 %**는 감소했다.
가장 큰 증가는 대전 +10.8 %, **전남 +7.2 %**였다.

 

6. 용도별 단위면적당 사용량

관광휴게시설 +9.0 %, 교육연구시설 +7.8 %, 운동시설 +6.7 % 증가.

위락시설 –11.2 %, 2종 근린생활시설 –1.1 % 감소.

 

7. 2018년 대비 단위면적당 사용량

지역별로 세종 +9.4 %, 제주 +2.4 %, 전남 +1.6 % 상승.

대구·울산·충북 –10 % 이상 감소.

용도별로 관광휴게시설 +4.2 %, 교육연구시설 +2.1 % 증가, 위락시설 –20.1 % 최대 감소.\

 


홍성준 국토교통부 녹색건축과장은 “데이터 기반 통계가 맞춤형 탄소중립 정책의 핵심”이라며 “정확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010-8229-5826

작성 2025.07.30 15:18 수정 2025.07.30 20:08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AI부동산신문 / 등록기자: 석홍화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