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0일~22일 개최된 제4회 동아시아 고전학 디지털 인문학 국제학술대회 ‘DHEAC 2025(DHEAC: 동아시아 고전을 위한 디지털 인문학 연례 국제 학술대회)’에서 나라지식정보 연구가 베이징 대학교와 중국 수도 도서관 인증 우수 연구로 선정됐다.
나라지식정보 인문인공지능연구소의 ‘근대 시기 문서 다국어 OCR 개발’ 연구가 ‘DHEAC 2025’에서 우수 연구로 선정됐다.
‘근대 시기 문서 다국어 OCR 개발’ 연구의 우수 연구 수상 증서
2025년의 주요 주제는 ‘인공지능 시대의 문화유산’으로, 이 국제학술대회는 베이징 대학교 디지털 인문학 연구센터와 중국 수도 도서관이 공동 주최했으며, 세부 주제는 ‘코퍼스 및 의미 자원 개발’, ‘모델과 알고리즘’, ‘지식 그래프 문화 분석 및 계산’, ‘플랫폼 및 리소스 개발’, ‘고전학의 전문 분야’, ‘문화유산의 디지털화와 활성화’, ‘무형문화유산 디지털화’, ‘스마트 라이브러리 및 통합 출판’, ‘커리큘럼 및 학문 개발’ 등이었다.
해당 컨퍼런스는 한국의 동아시아 지식문화교육원이 협력기관으로 참여하는 등 이미 서울과 항저우에서 세 차례 개최돼 동아시아 고전학과 디지털 인문학의 융합을 촉진하고 학자들의 국제 협력을 증진하는 데 기여해 오고 있다. 또한 도서관, 연구 기관, 디자인 및 크리에이티브 팀, 그리고 관련 업계가 AI를 활용한 고전 자료 개발 및 활용에 중점을 두고 협업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동아시아 고전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연구 지평을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국제 학술 대회다.
나라지식정보 김소정 연구소장은 “딥시크, 큐웬 등 중국의 잇따른 성공적인 AI 이면에 동양 문화유산 해석과 활용에 대한 중국 정부, 기업, 학계의 엄청난 관심과 열정을 느낄 수 있었다. 나라지식정보는 지속적으로 우리나라의 역사, 문화 분야 AI 연구와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다짐하며 RAG와 MLM(Multi Large Language Model)을 활용한 더욱 정교하고 고도화된 AI 연구 계획을 발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