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가 공간정보 AI(Geo-AI) 상용화를 위한 본격적인 연구개발에 착수한다. 해당 기술은 텍스트 기반 질의에 공간·시간 정보를 분석해 지도로 응답하며, 향후 부동산 매물 추천부터 교통 안내, 재난 대응까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공간정보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인공지능 기술 ‘Geo-AI(지오에이아이)’의 기반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2027년 상용화를 목표로 오는 8월부터 연구개발(R&D)에 본격 돌입한다고 밝혔다.
Geo-AI는 단순한 텍스트 분석을 넘어 지도, 교통, 건물 등 공간 정보와 시간 정보를 종합 분석해 최적의 답변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일반 챗봇형 AI와 비교해 ▲3차원 지도 기반 시각화 응답 ▲공간 맥락을 이해하는 추론 기능 ▲이기종 공간데이터 융합 분석 능력 등 3가지 측면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 유해시설 유무를 묻는 질문에 Geo-AI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해당 위치를 3D 지도에 표시해주며, 교통 혼잡 원인에 대해서도 거리·방향·시간 및 실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해당 기술은 부동산, 교통, 재난안전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부동산 스타트업은 이미 Geo-AI의 중간 성과를 반영해, 사용자 조건에 따른 매물 추천과 상담 기능을 갖춘 AI 중개서비스를 시범 운영 중이다. 일반 국민도 병원 인근 아파트, 반려동물 친화 지역 등 원하는 조건에 맞는 매물을 손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건설현장에서는 Geo-AI가 탑재된 스마트글래스를 통해 음성 명령만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안전한 시공이 가능하며, 자율주행로봇에도 적용돼 최적의 경로로 이동이 가능해진다.
국토부는 향후 개발된 Geo-AI 기술을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인 V-World를 통해 시범 운영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이상주 국토도시실장은 “AI를 접목한 공간정보 기술은 국민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생활 밀착형 도구가 될 것”이라며 “부동산, 자율주행, 재난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Geo-AI의 활용을 확대해 국민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