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신분증, 민간 앱으로 발급 시대 열렸다

카카오뱅크·네이버·토스 등 주요 앱 통해 모바일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 발급 가능

삼성월렛 외 5개 앱 본격 개방… 아이폰 일부 앱은 순차 지원 예정

행안부-민간기업 협력으로 안전하고 편리한 디지털 신원 인증 기반 마련

정부와 민간이 손잡고 디지털 신원 인증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을 알렸으며 행정안전부는 7월 23일 서울 성수동에서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오픈 행사’를 열고, 주요 민간 플랫폼에서의 모바일 신분증 발급 서비스 개시를 공식 발표하면서 모바일 신분증이 이제 카카오뱅크, 네이버, 토스 등 주요 민간 앱에서도 발급된다고 밝혔다. 사진=관계부처 합동 보도자료 제공 민간개방 사업자의 모바일 신분증 이미지

 

 

모바일 신분증이 이제 카카오뱅크, 네이버, 토스 등 주요 민간 앱에서도 발급된다. 정부와 민간이 손잡고 디지털 신원 인증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을 알렸다. 행정안전부는 7월 23일 서울 성수동에서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오픈 행사’를 열고, 주요 민간 플랫폼에서의 모바일 신분증 발급 서비스 개시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개방을 통해 카카오뱅크, 네이버, 토스,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등 총 5개 민간 앱에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외국인등록증 등 모바일 신분증 발급이 가능해졌다. 기존에는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과 삼성월렛에 한정돼 있었으나, 이제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One UI 6.1 이상) 사용자들은 더 다양한 앱에서 디지털 신분증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아이폰 사용자에게는 일부 앱(토스, 카카오뱅크, 정부 앱)에서 우선 제공되며, 나머지 앱은 향후 지원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2024년 공개모집을 통해 선정된 민간 기업들이 1년간 개발지침에 따라 서비스를 구축하고, 행안부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및 금융보안원과 협력해 적합성 평가를 거친 뒤 시행됐다.

 

 

모바일 신분증은 단말기 내 보안영역에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되며, 중앙 서버에는 정보가 남지 않아 해킹에 의한 유출 위험이 없다. 지문·안면인식 또는 비밀번호 인증 없이는 사용할 수 없어 실물 신분증보다 도용 위험이 낮고, 분실 시 모바일 신분증 누리집 또는 콜센터를 통해 발급 정지 조치도 가능하다.

 

 

현재까지 약 670만 명이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았으며,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지닌다. 관공서, 편의점 등 오프라인 외에도 비대면 인증이 필요한 온라인 환경에서도 활용이 가능해 보이스피싱 등 금융범죄 예방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정부는 모바일 신분증을 기반으로 AI 시대에 필요한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신원 체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민간 앱을 통한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는 디지털 신원 인증의 전환점”이라며 “안전하고 혁신적인 디지털 사회로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작성 2025.07.24 11:07 수정 2025.07.24 11:07

RSS피드 기사제공처 : 부동산이슈저널 / 등록기자: 강태웅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