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16일부터 20일까지 이어진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인해 전국 곳곳이 마비되고 수많은 피해가 속출했다. 이번 폭우로 인해 21명의 국민이 사망하고, 다수의 실종자가 발생했으며, 수천 명이 삶의 터전을 잃고 긴급 대피하는 등 심각한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경남 산청군의 경우, 시간당 최대 100mm가 넘는 비가 퍼붓는 상황에서 전 군민 대피령이 내려졌고, 사망·실종자 피해가 가장 극심했던 지역 중 하나로 지목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7월 22일, 피해가 극심한 경기 가평, 충남 서산·예산, 전남 담양, 경남 산청·합천 등 6개 시·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이는 행정안전부 복구지원과의 사전 조사를 통해 피해 규모가 기준을 충족한 데 따른 조치다.
정부는 이번 선포를 통해 ▲피해 주민에 대한 직접 지원금 지급 ▲세금·공공요금 감면 ▲공공시설 복구비 국비 지원 등을 신속히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행정안전부 발표에 따르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주민들에게는 다음과 같은 실질적인 지원이 제공된다:
-
주택 피해 보상: 전파 2,200만~3,050만원,반파 1,100만~2,000만원, 침수 350만 원
-
세입자 지원: 보증금 및 임대료 최대 600만 원 국비 보전
-
공공시설 복구: 총 복구비 중 70% 이상 국비 부담
-
농경지 및 농업 기반: 파손 시설 전액 복구 지원
-
간접비용 감면: 건강보험, 전기·가스, 통신요금 등 37개 항목 감면 조치 시행 예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