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 사망자 21명. 정부 6개 지역 ‘특별재난지역’ 선포

- 전국을 덮친 집중호우, 참사로 번지다

- 폭우는 끝났지만, 국가의 대응은 이제 시작

수햏현장 (틱톡 비나보로 인용)


2025년 7월 16일부터 20일까지 이어진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인해 전국 곳곳이 마비되고 수많은 피해가 속출했다. 이번 폭우로 인해 21명의 국민이 사망하고, 다수의 실종자가 발생했으며, 수천 명이 삶의 터전을 잃고 긴급 대피하는 등 심각한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경남 산청군의 경우, 시간당 최대 100mm가 넘는 비가 퍼붓는 상황에서 전 군민 대피령이 내려졌고, 사망·실종자 피해가 가장 극심했던 지역 중 하나로 지목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7월 22일, 피해가 극심한 경기 가평, 충남 서산·예산, 전남 담양, 경남 산청·합천 등 6개 시·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이는 행정안전부 복구지원과의 사전 조사를 통해 피해 규모가 기준을 충족한 데 따른 조치다.


정부는 이번 선포를 통해 ▲피해 주민에 대한 직접 지원금 지급 ▲세금·공공요금 감면 ▲공공시설 복구비 국비 지원 등을 신속히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행정안전부 발표에 따르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주민들에게는 다음과 같은 실질적인 지원이 제공된다:

  • 주택 피해 보상: 전파 2,200만~3,050만원,반파 1,100만~2,000만원, 침수 350만 원

  • 세입자 지원: 보증금 및 임대료 최대 600만 원 국비 보전

  • 공공시설 복구: 총 복구비 중 70% 이상 국비 부담

  • 농경지 및 농업 기반: 파손 시설 전액 복구 지원

  • 간접비용 감면: 건강보험, 전기·가스, 통신요금 등 37개 항목 감면 조치 시행 예정

또한 정부는 충남 아산시를 포함한 일부 피해지역에 대한 중앙합동조사를 진행 중이며, 피해 상황이 확인되는 대로 추가 특별재난지역 지정도 예고했다. 아산시의 경우, 이재민만 524명에 달하고 농축산물 피해와 주택 침수 등으로 총 367억 원 규모의 손실이 보고되었다.


이번 특별재난지역 선포는 단지 ‘응급처방’에 불과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국가적 차원의 기후재난 대응 시스템, 그리고 선제적 예방 인프라 확충 없이는 이런 참사가 반복될 수밖에 없다는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 "이제는 단순한 복구를 넘어선 기후 위기 시대의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향후 추가 피해 방지, 장기 복구 전략, 피해 주민의 심리 지원 등 복합적 과제를 동시에 안고 있다.

작성 2025.07.24 07:38 수정 2025.07.24 07:38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정보신문 / 등록기자: 주경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