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 한복판, 무더위가 본격화되기 시작하는 시기인 초복은 단순히 ‘덥다’는 감각을 넘어선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초복을 시작으로 중복, 말복까지 이르는 삼복더위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 특별한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실천해 왔다. 초복은 단지 한 끼의 보양식으로 끝나는 날이 아니라, 여름철 건강관리를 위한 전략이 시작되는 날이다.

초복의 유래는 조선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농경사회에서는 장마와 폭염이 겹치는 여름철에 체력이 급격히 떨어지기 쉽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편으로 복날이라는 풍속이 생겨났다.
초복은 음력 6~7월 사이의 세 번째 경일(庚日)로 정해지며, 이는 음양오행 사상에 근거를 둔다. 조선시대에는 왕이 백성들에게 특별한 음식을 하사하기도 했으며, 민간에서는 서로 보양식을 나누며 공동체 정신을 실천했다.
복날 음식 하면 으레 떠오르는 것이 바로 삼계탕이다. 통닭 안에 인삼, 찹쌀, 마늘, 대추 등을 넣고 오랜 시간 푹 끓여낸 이 음식은 더위에 지친 기력을 회복시켜주는 대표적인 보양식으로 자리 잡았다. 최근에는 삼계탕에 황기나 쌍화, 오가피와 같은 한방 약재를 더해 건강 효과를 높인 ‘한방 삼계탕’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면서 보양식도 진화하고 있다. 고기를 피하는 사람들을 위한 채식 보양식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버섯, 두부, 해조류, 콩 등을 넣은 비건 보양전골은 식물성 단백질과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영양 밸런스를 맞추는 데 효과적이다.
최근에는 한식과 이국적 요리가 융합된 퓨전 보양식도 늘고 있다. 삼계탕 국물에 파스타를 넣은 ‘삼계파스타’, 한우 육수에 인삼을 더한 ‘한우 삼계전골’ 등은 입맛뿐만 아니라 시각적 만족감까지 채워주는 메뉴로 외식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초복을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단순히 음식을 잘 먹는 것을 넘어, 일상 속에서 건강을 지키는 지혜가 필요하다. 첫째, 수분과 염분을 적절히 보충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만 마시기보다는 오미자차나 수박즙처럼 미네랄이 함유된 음료를 통해 수분과 전해질을 함께 공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둘째, 실내외 온도차 관리도 중요하다. 에어컨은 너무 낮게 설정하지 말고 26~28도를 유지하며, 바깥 활동은 오전이나 해가 질 무렵 등 기온이 낮은 시간대에 하는 것이 좋다. 셋째, 격한 운동은 피하고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산책으로 몸을 풀어주는 것이 체온 관리에 도움이 된다. 넷째, 무더위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해 간단한 명상이나 호흡법을 실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결국 초복은 단순한 명절이나 식사의 날이 아니라, 여름을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생활 전략’의 시작점이다. 전통을 이해하고 계승하는 한편,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실용적인 접근이 더해질 때 초복은 단순한 더위가 아닌, 여름을 현명하게 이겨내는 지혜가 된다. 한 그릇의 보양식으로 시작되는 변화, 그것이 바로 초복이 주는 진짜 의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