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고, 비우고, 노래하다 : 김삿갓의 삶이 주는 마음챙김의 철학

방랑 시인의 발자국에서 마음챙김을 읽다

명상 없이도 명상하던 삶, 조선의 떠돌이 수행자

오늘의 나에게 필요한 ‘김삿갓의 무심함’

 

방랑 시인의 발자국에서 마음챙김을 읽다

"나는 바람처럼 살고 싶었다. 길 위에 있는 동안 나는 자유로웠고, 누구에게도 얽매이지 않았다."
어쩌면 김삿갓이 오늘날의 심리 상담실을 찾았다면 이런 말을 했을지도 모른다. 아니, 그는 이미 스스로 마음의 정원을 다듬던 명상가였을지도 모른다.

 

숲 길 걷기 (출처 =언플래쉬) 

 

김삿갓, 본명은 김병연. 조선 후기의 방랑 시인이자 풍자시인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그는 24세 때 할아버지가 사헌부 대사헌으로서 무고한 사람에게 누명을 씌운 사실을 알고 벼슬길을 버렸다. 붓과 삿갓 하나 들고 떠돌기 시작했다. 그리고 평생을 길 위에서 살았다.

그의 시는 유쾌하고 날카롭다. 권력을 조롱하고 위선을 비웃으며 민중의 삶을 노래했다. 그러나 그 밑바탕에는 세속을 벗어나려는 고요한 사유, 자기 마음을 바라보려는 시선이 깔려 있다. 그는 말하진 않았지만, 마음챙김의 달인이었다.

걷고, 보고, 웃고, 적는 그의 삶. 이것은 단순한 방랑이 아니었다.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수행이었고, 세상의 번뇌로부터 한 발 떨어지는 명상이었다. 그는 ‘머물지 않음’으로 존재했고, ‘소유하지 않음’으로 자유로웠다.

 

김삿갓은 한낱 무명 시인이 아니었다. 그는 사실 과거에 급제할 정도로 학문이 뛰어났고, 조선의 주자학적 틀 안에서 얼마든지 엘리트 관료로 살 수 있었다. 하지만 그는 조상의 과오를 부끄러워했다. 진실을 외면한 사회의 이중성과 권력의 가식에 환멸을 느꼈다. 그리고 길을 나섰다.

여기서 우리는 중요한 단서를 얻는다. 그는 '도피'가 아니라 '자기 결단'으로 길을 선택했다. 자기 삶을 다시 설계했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의미를 찾아갔다. 오늘날 수많은 사람들이 번아웃과 자기 상실 속에서 멍하니 일상을 견디고 있을 때, 김삿갓은 정반대의 선택을 했다.

 

비우는 용기, 내려놓는 선택, 거절의 실천. 마음챙김이란 단어는 사전적으로 ‘현재 순간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지만, 김삿갓은 ‘현재에 머물면서도 흐름을 타는 삶’을 실현한 인물이었다. 그는 이름을 버렸고, 집을 버렸고, 신분마저 버렸다. 오직 시와 풍자, 그리고 걸음을 통해 세상과 조우했다.

 

명상 없이도 명상하던 삶, 조선의 떠돌이 수행자
김삿갓의 하루는 일정하지 않았다. 어떤 날은 백성들과 막걸리를 마시며 시를 주고받았고, 어떤 날은 산과 들을 홀로 걷고 또 걸었다. 그는 특정한 자세로 눈을 감고 명상하진 않았지만, 그가 살아간 방식은 명상의 본질과 맞닿아 있었다.

 

“걷는 것이 곧 수행이었다.”


오늘날의 ‘워킹 명상(walking meditation)’과 다를 바 없다. 그는 매 순간 주위를 관찰했고, 마음을 비웠으며, 불필요한 것들을 손에서 놓았다. 하루하루 머물던 여관과 주막은 그에게 ‘일상의 도량’이었고, 한 줄 시구는 ‘불경’과 같았다. 게다가 그는 타인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았다. 양반의 위선, 권력자의 탐욕, 가난한 이의 눈물에 예민하게 반응했고 그것을 웃음과 조롱으로 풀어냈다. 지금 우리가 마음챙김을 통해 사회적 공감 능력을 기르려 하는 그 지점에, 김삿갓은 이미 다다라 있었다.

 

오늘의 나에게 필요한 ‘김삿갓의 무심함’
지금 이 시대는 정보를 넘치게 제공하지만, 마음은 더욱 불안하다. 멈추고 싶지만 멈추면 뒤처질까 두렵고, 잠시 쉴 틈조차 '게으름'이라 불린다.


이럴 때, 김삿갓의 무심함은 우리에게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과연 나는 얼마나 나답게 살고 있는가?”
“지금 내가 가진 생각, 감정, 관계, 직업은 나에게 진짜 필요한가?”

 

 

길 위의 미소(출처 : 언플래쉬)

 

 

김삿갓은 물질보다 마음, 체면보다 자유, 지위보다 고요함을 택했다.
우리가 삶의 속도를 줄이고, 내면의 소리를 들으며, 자기 삶의 방식대로 걸어갈 때 — 그는 어느새 우리 곁에 와 있을 것이다.  그의 시처럼.
 

"길 위에 꽃이 피었네,
내 마음은 그저 보고 웃었을 뿐."

 

김삿갓이 가르쳐 준 명상의 진짜 의미
우리는 오늘도 바쁘고, 머리는 복잡하고, 마음은 가볍지 않다. 마음챙김을 배워도 금방 잊고, 명상 앱을 켜도 졸기 일쑤다. 하지만, 때론 정교한 기술보다 단순한 삶의 태도가 더 강력하다.


김삿갓은 고요하게 우리에게 말하고 있다.

"복잡한 세상을 웃으며 건너가라.  그 웃음이 곧 너의 명상이다."

 

김삿갓의 길 위의 시는 오늘날 마음챙김의 교과서가 될 수 있다. 우리는 그처럼 비우고, 걷고, 노래할 수 있다.
그렇게 자기 마음을 알아가는 길 위에, 오늘도 한 걸음 내딛을 수 있다

작성 2025.07.18 19:59 수정 2025.07.18 19:59

RSS피드 기사제공처 : 온쉼표저널 / 등록기자: 장은순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