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새로운 생태금융”
1. 사업개요
- 기업변화 대응이 글로벌 투자 지표로 부상하는 가운데, 본 사업은 산림-농지 등 탄소흡수원을 기반으로 한 크레딧 인증 및 거래를 통해 지속가능한 수익을 창출하는 국내 탄소사업 모델.
2024년 5월 1일부터 시행된 「 탄소흡수원 유지 및 증진에 관한 법률」 및 국가 자발적 감축 실적 인증제에 기반하여, 투자자의 ESG 재무성과 함께 사회적 가치 창출까지 함께 추구합니다.
2. 시장 동향 및 배경
∎ 탄소배출권 시장 국내 현황
⋅배출권거래제(K-ETS)운영 중(2015~)
⋅2024년 기준 약 720개 기업 참여
⋅시장 규모: 약3.4조원 (2023년 기준, 환경부)
⋅톤당 배출권 시세: 약 ₩30,000~₩40,000(수급에 따라 유동)
∎ 자발적 시장(VCS,K-VER 포함)
⋅VCS, GS 등 국제 민간 인증 대비 국내 K-VER 인증 활성화 중
⋅K-VER 등록된 감축 실적은 공공조달 가점 및 ESG 공사자료로 활용
⋅톤당 거래가:약₩15,000~₩35,000 수준(2024년 기준 민간거래)
3.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단계 | 활동 | 수익모델 |
1단계 | 흡수원조성(산림,농지,유휴지 등) | 탄소 저장자산 확보 |
2단계 | 국립산림과학원.K-VER 인증 신청 | 공식 크레딧 등록 |
3단계 | 탄소크레딧 거래(B2B) | 감축의무기업,지방자치단체, ESG펀드등 판매 |
4단계 | NFT발행,개인ESG투자 플렛폼 운영 | 소액투자형 수익 구조화 |
4. 예상 수익률 분석(ROI)
⇨ 기준 가정
⋅식재 단가: 1그루당₩40,000원(조림+관리+인증 포함)
⋅1그루당 탄소 흡수량: 평균 연간 10~20kg CO2
⋅톤당 판매가:
∘K-VER 기준 톤당 ₩25.000~₩35.000
∘1ha 식재 시: 약 1,000그루 기준 ⇨연간 10~20톤 흡수
수익 시나리오 (1ha 기준)
항 목 | 보수적 | 현실적 |
연간 흡수량 | 10톤 | 15톤 |
톤당 판매가 | ₩25,000 | ₩30,000 |
총 매출 | ₩250만 | ₩450만 |
유지비(20%) | ₩50만 | ₩90만 |
순수익 | ₩200만 | ₩360만 |
ROI(3년) | 약15% | 약27% |
※ 5~10년간 유지관리 시, 연속적 탄소흡수량 누적에
따라 복리 수익 구조 가능
5. 투자 구조
구 분 | 내 용 |
| 총 투자규모 | 10억~30억 (1차 파일럿+플렛폼 개발 포함 |
| 사용처 | 조림. 인증비용, 시스템/NFT 개발,마켓팅.홍보 |
| 투자 형태 | 지분 투자 또는 크레딧 수익 일부 배분 계약 |
| 회수 기간 | 3~5년(자산화 +거래 이익 기반 회수 |
| 보증 수단 | NFT 기반 위치 등록, 토지임대 계약, 제3자 인증 자료 |
6.ESG 및 사회적 가치
사회적 가치
∘지역 주민 참여형 조림
∘도시숲 조성, 유휴지 복원 등 사회공헌 연계
∘탄소중립 지역 비즈니스 모델 확산
7. 우리의 경쟁력
∘법령 기반 사업: 「탄소흡수원 유지 및 증진에 관한 법률」 시행 대응
∘NFT기반 디지털 토지-나무-탄소연계 시스템 구축 완료
∘전국적 거버넌스 구성 가능(산림청,지자체,기업 제휴 다수 확보 중)
∘환경단체 및 언론 네트워크 통한 홍보 및 확산 역량 보유
8. 제안 마무리
⃞ 기후위기는 피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기회로 바꿀 수 있습니다.
탄소흡수원은 보이지 않는 자산‘이 아니라 측정되고, 거래되고, 투자되는
자산입니다. 지금 귀하의 투자로, 지구는 녹색으로 바뀌고 귀하의 자산은
함께 성장할 것입니다.
⋆⋆돈이 되는 나무, 지속가능한 수익, 공존하는 지구⋆⋆에 지금 동참하십시오.
송영배기자 010-2293-6500
dandory2000@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