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 재사용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모비케어 리프레시' 출시... ESG 헬스케어 새 지평

의료폐기물 혁신적 감축… 환경 보호 및 자원 절약에 기여

택배 회수 시스템 도입으로 환자·의료진 편의성 대폭 향상

전국 100여 개 의료기관 도입 확산… 지속가능한 의료 모델 제시

 

 종합 헬스케어 기업 대웅제약은 씨어스테크놀로지와 손잡고 재사용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모비케어 리프레시(mobiCARE REFRESH)'를 공식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제품은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가치를 실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의료 현장의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모비케어'는 19g의 초경량 무선 형태로, 일상생활 중 최대 9일까지 장기간 심전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이는 단시간 검사로는 파악하기 어려웠던 심장 이상 신호를 포착하는 데 효과적이다.

 

 기존 웨어러블 홀터 기기들은 환자가 기기를 병원에서 부착 후 반납을 위해 다시 병원을 방문해야 했으며, 병원에서는 기기 소독 및 관리에 추가 인력이 필요했다. 특히 일회용 기기는 의료폐기물로 분류되어 소각 처리 과정에서 환경 오염 및 자원 낭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지방 거주 환자의 경우 기기 반납을 위해 장거리 이동과 상당한 시간, 비용을 소모하는 어려움도 컸다.

 

 대웅제약과 씨어스테크놀로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모비케어 리프레시'에 택배 회수 서비스를 도입했다. 환자는 검사 완료 후 자택에서 택배로 기기를 반납할 수 있으며, 병원 방문 부담을 덜고 원내 감염 관리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모비케어 리프레시 센터'가 회수된 기기의 세척, 멸균, 품질 검사를 전담함으로써 의료진의 업무 부담을 획기적으로 경감시킨다.

 

 '모비케어 리프레시'는 재사용 모델을 통해 의료폐기물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리프레시 과정을 거친 제품을 다회용 기기 수준의 합리적인 공급가로 제공하여 의료기관의 비용적 부담까지 덜어준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기업, 고객(환자 및 의료진), 사회(환경)가 모두 이익을 얻는 'Win-Win-Win' 상생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모비케어 리프레시'는 출시 1년 만에 서울아산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등 전국 100여 개 주요 의료기관에 도입되며 성공적인 ESG 기반 의료기기 사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는 일회용 제품에 대한 현장 수요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환경과 비용을 모두 고려한 새로운 의료기기 표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를 가진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단기적인 원가 상승과 시스템 구축 부담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기의 본질적 가치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모비케어 리프레시'를 도입했다"며, "앞으로도 환자 중심의 기술 혁신과 ESG 경영을 통해 의료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더욱 발전된 헬스케어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작성 2025.07.17 09:26 수정 2025.07.17 11:17

RSS피드 기사제공처 : 보건의료신문 / 등록기자: 고광노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