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움이 뇌를 병들게 한다: 관계 단절이 기억력과 인지력에 미치는 경고

고립된 삶, 뇌세포를 위협하다: 외로움이 신경퇴행을 가속화하는 방식

관계의 결핍과 알츠하이머 위험: 과학적 연구들이 밝혀낸 사실

디지털 시대의 역설: 연결되어 있지만 더욱 외로운 뇌

외로움은 단순히 감정의 문제가 아니다. 최근 뇌 과학자들은 만성적인 고립이 실제로 뇌 구조와 기능에 물리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하버드 의대의 연구에 따르면, 외로운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기억력 감퇴와 주의력 저하가 더 빨리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외로움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해마(기억을 담당하는 뇌 영역)의 기능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고립된 삶은 전전두엽의 활동도 억제한다. 전전두엽은 판단력, 사회적 기능, 감정 조절을 담당하는 영역이다. 지속적인 외로움은 이 영역의 신경회로를 약화시켜, 인지적 유연성과 정서 안정성에도 악영향을 준다. 이는 단순한 우울감 수준을 넘어서, 신경학적 퇴행을 가속화하는 직접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GPT생성 사회적 접촉 과 치매 @ 강태문 기자

 

미국 노화연구소(NIA)의 장기 추적 연구에서는, 사회적 접촉 빈도가 낮은 사람들이 치매에 걸릴 확률이 평균보다 60% 이상 높다는 결과가 발표됐다. 특히 ‘혼자 산다’거나, ‘친밀한 사람과 정기적으로 교류하지 않는다’는 응답을 한 고령자는 기억력 저하뿐만 아니라 언어 능력, 공간 인지력 등 다양한 뇌 기능이 빠르게 저하됐다.

 

또한, 2021년 《Journal of Neurology》에 실린 연구에서는 외로움을 자주 느낀 성인의 뇌에서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침착이 증가한 것이 관찰됐다. 이는 외로움이 단순히 결과가 아니라, 병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주목할 만한 발견이다.

연구자들은 “관계가 단절된 채 살아가는 것은 마치 뇌에 지속적으로 ‘위험 신호’를 보내는 것과 같다”고 경고한다.
 

GPT 생성 사회적 접촉 @ 강태문 기자.


SNS, 메신저, 화상회의...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쉽게 연결되어 있는 시대를 살고 있다. 그러나 그 연결은 ‘실제적인 관계’로 이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연구에 따르면, SNS에서 많은 사람과 소통하는 것처럼 보여도, 실제 외로움 점수는 오히려 더 높은 경우가 많았다. 이는 디지털 상의 상호작용이 뇌에 주는 자극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실제 얼굴을 마주하고 주고받는 미소, 비언어적 신호, 공감은 디지털로 대체하기 어렵다. 캘리포니아대 뇌과학센터는 “디지털 관계는 뇌의 공감 회로를 거의 활성화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디지털 네트워크만으로는 뇌 건강을 지키는 데 충분하지 않다.

외로움은 더 이상 개인의 기분 문제가 아니다. 관계 단절은 뇌를 병들게 하고, 치매와 같은 심각한 신경퇴행 질환의 위험요소로 작용한다. 인간의 뇌는 본래 사회적인 기관이다. 따라서 뇌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장 강력한 방법은 좋은 사람들과의 진정한 관계를 지속하는 것이다. 짧은 대화 한 마디, 정기적인 만남 하나가 기억력과 인지력을 지켜주는 방패가 될 수 있다. 오늘 당신의 뇌를 위해, 누군가와 따뜻한 대화를 나눠보는 건 어떨까?

 

작성 2025.07.16 17:12 수정 2025.07.23 23:38

RSS피드 기사제공처 : 브레인 건강 뉴스 / 등록기자: 강태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