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양천구 신정동 '목동리딩키즈' 서혜미 원장 © 목동리딩키즈 |
“보통 영어 학원은 선생님이 가르치고, 아이들이 따라오는 구조예요. 하지만 저희는 다릅니다. 아이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를 눈빛만 봐도 알아야 하거든요.”
양천구 신정동에 위치한 ‘목동리딩키즈’는 일반적인 영어 학원과는 사뭇 다르다. 영어 도서관 수업을 기반으로 소수정예 방식으로 운영되는 이곳은, 단순히 ‘책을 읽고 문제를 푸는’ 시스템이 아닌 ‘책을 읽고 생각을 쓰는’ 방식으로 아이들의 영어 내공을 쌓아간다.
▲ 사진 = 목동리딩키즈 |
서혜미 원장이 이 공간을 직접 운영하게 된 계기도 바로 이런 ‘교육에 대한 갈증’에서 출발했다. 자신의 자녀를 영어 학원과 영어 도서관에 보내보며 겪었던 한계점들—어떤 책을 읽었는지, 무엇을 느꼈는지 알 수 없었던 교육 방식에 대한 아쉬움이 공간을 만들게 한 원동력이었다.
“책을 읽는 것만으로 영어 실력이 향상되진 않아요. 그 책을 읽고 어떤 생각을 했는지가 훨씬 중요하죠. 그래서 저희는 줄거리보다 아이가 주인공이었다면 어떻게 했을지를 묻습니다.”
![]() ▲ 사진 = 목동리딩키즈 |
목동리딩키즈는 최대 정원 3명의 초소규모 수업으로 운영된다. 한 문장을 쓰기 전, 아이의 생각을 꺼내고, 말로 표현하게 하고, 그것을 글로 이어가게 하는 단계별 빌드업 수업은 리딩과 라이팅의 연결을 자연스럽게 만들어준다. 특히 모든 독서 후 활동은 1대1 맞춤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기반으로 하며, ‘서술형 라이팅’ 중심으로 진행된다. 단 한 권의 책을 읽더라도, 그 질문은 단순 줄거리 파악을 넘어서 사고력과 표현력을 동시에 자극하는 방식이다.
“‘왜 주인공은 울었을까’, ‘네가 그 친구라면 어떻게 했을 것 같아?’와 같은 열린 질문을 통해 아이들이 책 속 상황에 몰입하게 돼요. 같은 장면을 읽고도 서로 다른 대답을 쓰는 걸 보면 참 신기하죠.”
▲ 사진 = 목동리딩키즈 |
이러한 방식은 목동 지역 학부모들 사이에서도 빠르게 입소문이 퍼졌다. 오픈 초기 40명으로 시작한 학원은 현재 200명 이상의 원생이 등록되어 있으며, 블로그나 광고 없이도 추천만으로 운영되고 있다. 수업도 서혜미 원장을 포함해 총 9명의 선생님이 함께 나누어 진행한다.
▲ 사진 = 목동리딩키즈 |
또한 이곳은 단순히 리딩과 라이팅만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문법·독해·파닉스 등의 학습 요소를 아이 수준에 맞춰 자연스럽게 끌어올리는 커리큘럼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저학년을 위한 에세이 빌드업 수업은 서론, 본론, 결론을 함께 구성해나가며 아이들이 글쓰기에 자신감을 갖도록 돕는다.
![]() ▲ 사진 = 목동리딩키즈 |
“에세이 첨삭만 해주는 게 아니라, 처음 브레인스토밍부터 함께 시작해요. 무엇을 어떻게 쓰고 싶은지, 그 생각을 문장으로 연결해가는 과정을 아이들과 함께 하죠.”
서 원장의 교육 철학은 ‘틀린 문장은 다시 쓰기보다, 왜 틀렸는지를 함께 생각해보는 수업’이다. 틀림을 부끄러워하지 않도록, 오히려 ‘그 질문 너무 재밌다’며 아이의 반응을 소중히 여긴다. 실제 수업 중 아이가 ‘수영장을 무서워하는 친구를 위해 물을 주스로 바꿔준다’는 상상을 펼친 적도 있다. 그녀는 그런 순수한 상상이야말로 언어보다 앞선 창의성이라고 강조한다.
▲ 사진 = 목동리딩키즈 서혜미 원장 호주 교육과정 당시 모습 |
서혜미 원장은 호주에서 TESOL(Teaching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과정을 이수하고, YBM ECC 등 영어 유치원 현장에서 10년 넘게 교육 경험을 쌓았다. 이후 엄마가 된 후 자녀 교육의 방향을 고민하던 중 ‘생활 속 영어’와 ‘학습으로서의 영어’를 함께 접목하는 방식에 눈을 떴고, 지금의 교육 시스템을 직접 구축하게 됐다.
▲ 사진 = 목동리딩키즈 |
서 원장은 앞으로의 영어 교육에서 AI의 역할도 주목하고 있다. “챗GPT 같은 AI가 아이들의 반응을 듣고, 예측할 수 없는 질문을 던졌을 때 그에 대한 아이들의 대답을 보는 것이 참 궁금해요. 선생님이 AI로 대체 되는 게 아니라, 함께 활용해서 더 풍부한 수업이 되면 좋겠어요.” 컴퓨터 프로그램을 능숙하게 다루는 편은 아니지만, 언젠가 교실마다 AI와 함께하는 독서·질문 프로그램이 도입되는 미래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 사진 = 목동리딩키즈 |
또한 영어 교육 전문가로서 현장의 현실도 짚었다. “학교 영어 선생님들이 아이들보다 영어 실력이 낮다는 이유로 떠나는 경우도 있다고 들었어요. 지금의 교육 환경은 변하고 있고, 영어는 여전히 생활 속에서 꾸준히 다뤄야 실력이 유지됩니다. 구글 번역기나 AI만으로는 감정과 맥락을 완전히 소화할 수 없기에, 진짜 영어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교감을 통해 익히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최근에는 ‘7세 고시’라 불리는 조기 레벨 테스트 수요에 따라 전용 수업도 개설했으며, 목동 탑 입시학원 진학을 위한 레벨테스트 대비반 역시 활발히 운영 중이다. 그러나 단순히 입시를 위한 커리큘럼만이 아닌, ‘기록으로 남는 영어 실력’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레벨 테스트 결과에 너무 흔들리지 마세요. 아이가 얼마나 오래, 얼마나 자주 영어에 노출됐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다른 아이와 비교하기보다는, 우리 아이의 어제와 오늘을 비교하는 게 훨씬 중요한 일이죠.”
‘목동리딩키즈’는 단지 영어 교육 공간을 넘어서, 아이들의 생각을 존중하고 그들의 언어를 발견해주는 따뜻한 교실이다.
▲ 사진 = 목동리딩키즈 |
기자는 ‘목동리딩키즈’에서의 영어 교육은 더 이상 점수나 레벨에 얽매인 수단이 아니라, 아이들이 자신을 발견하고 세상과 연결되는 하나의 창처럼 느껴졌다. 다가올 AI 시대에도 결코 대체되지 않을 ‘사람과 사람 사이의 교육’이란 무엇인지, 서혜미 원장과 목동리딩키즈는 그 해답을 정성껏 보여주고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