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김정대] 나이 듦을 멈추고, 설렘을 시작하는 법

▲김정대/선진지방자치연수원 교수 ⓒ한국공공정책신문

 [한국공공정책신문=김유리 기자]  


"당신의 나이는 몇 살입니까 ?“

 

이 질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민등록증에 적힌 숫자를 떠올릴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조금 다른 대답을 하려 합니다. 제 나이는 서른셋, 'Mind Age 33'입니다.

 

육체의 나이는 세월의 흐름에 따라 어쩔수 없이 늘어가지만마음의 나이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는 믿음 때문입니다.  그리고 바로 이 '생각의 나이'가 저를 '행복공장 CEO'이자 '띵킹디자이너로 살아가게 하는 원동력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흔히 나이를 숫자에 가두고, 그 나이에 맞는 사회적 기대를 스스로에게 덧씌우곤 할 때가 많이 있지요.

'이 나이에는 이래야 해', '저 나이가 되면 저런 건 못 해'와 같은 생각들이 우리를 옴짝달싹 못하게 만드는 족쇄가 되어가고 있다라고 생각합니다

.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피카소"91세의 나이에도 왕성한 창작열을 불태웠고'KFC'의 창업주 "커넬 샌더스"65세에 첫 프랜차이즈 계약을 맺었다고 합니다.

이들의 공통점은 세상이 정한 시간표가 아닌, 자신만의 '마음의 시계'를 따라 살았다는 점입니다.

 

마음의 시계를 되돌려라, 'Mind Age'행복은 '생각의 전환'에서 시작됩니다.

 

최근 많은 분들이 경제적 어려움, 관계의  단절, 불확실한 미래 등으로 힘겨워 하고 있습니다. 저 역시 '행복공장 CEO'로서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과 행복을 나눌 수 있을까 늘 고민하고 있습니다.

제가 찾은 해답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바로 '생각의 디자인'을 바꾸는 것입니다

우리의 뇌는 생각보다 단순해서, 어떤 생각에 집중하느냐에 따라 현실을 다르게 인식한다고 합니다.

 

'나는 늙고 지쳤다'고 생각하면 몸은 정말로 무기력해지고'나는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젊은 나이'라고 생각하면 없던 에너지도 솟아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마인드 에이지(MindAge)'의 힘입니다.

지금 당장 거울을 보고 스스로에게 말해 보십시오.

 

"나는  내가 원하는 일을 하기에 가장 좋은 나이서른셋의 청년이다!"라고 말입니다. 후회 없는 삶을 위한 행동 지침,

'지금, 여기'에 집중하라. 생각의 나이를 설정했다면, 이제는 행동할 차례입니다.

거창한 계획은 필요 없습니다. 행복은 미래의 어느 날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지금, 여기'의 순간들에 깃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첫째, '작은 성공'을 매일 경험하십시오

아침에 일어나 이불을 정리하는 아주 사소한 일부터 시작해도 좋습니다.

스스로와의 약속을 지키고 성취감을 맛보는 경험이 쌓이면자존감은 자연스럽게 높아지고 더 큰 도전도 두렵지 않게 됩니다.

 

둘째, '낯선 즐거움'을 찾아 나서십시오.

매일 같은길로 다니고, 비슷한 음식만 먹는 생활은 우리를 무기력하게 만듭니다.

평소 가보지 않았던 골목길을 산책하고, 새로운 취미를 배워 보십시오.

낯선 환경이 주는 작은 자극들이 우리의 뇌를 깨우고, 삶에 활력을 불어 넣을 것입니다.

 

셋째, '고마운 마음'을 표현하는 습관을 가지십시오.

힘든 상황에만 집중하면 세상은 온통 불만투성이로 보입니다.

하지만 주변을 둘러보면 감사할 일들이 분명히 존재합니다.

 

따뜻한 햇살, 맛있는 아메리카노커피 한잔, 다정한 친구의 목소리.

이러한 것들에 감사하는 마음을 가질 때우리는 비로소 행복과 가까워질 수 있다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생각보다 훨씬 강한 존재입니다.

 

세상의 기준에 나를 맞추지 마십시오.우리들의 가치는 숫자로 매길 수 없습니다.

우리들의 '마인드 에이지(Mind Age)'를 스스로 결정하고, 열정으로 가득 찬 서른셋 청년의 마음으로 세상을 새롭게 바라 보십시오.

 

생각의 전환과 작은 행동의 변화가 모여 우리들의 삶이 후회 없는 행복으로 가득 채워질 것이라 확신해 봅니다. 오늘, 우리들의 '행복공장'은 어떤 새로운 행복을 생산해 낼 계획을 세우시고 계신가요?

 

기억하십시오. 분명, 우리들은 우리들 인생의 유일한 CEO이며우리들의 생각대로 무엇이든 만들어 갈 수 있는 위대한 띵킹디자이너입니다.

 


김정대

* 선진지방자치연수원 교수, 띵킹디자이너

* 호남대학교AI교양대학 초빙교수(), 행복공장CEO

* ESG컨설턴트, 퍼실리테이터

* 광주광역시의회 산업건설전문위원()

<최근 강의내용>

* 띵킹디자이너의 새로운 생각키우기

* AI인공지능시대 공직자의 혁신전략 등




작성 2025.07.14 17:49 수정 2025.07.14 17:59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공공정책신문 / 등록기자: 김유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