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pan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6px;">서울 강남3구를 중심으로 뜨겁게 달아올랐던 집값 상승세에 제동이 걸렸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strong> ‘6·27 대출 규제’</strong>의 영향이 점차 본격화되면서 주요 지역의 매수세가 눈에 띄게 위축되고 있다. 부동산 시장은 3개월 이상 과열세를 이어오다, 현재 조정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분석된다.</span></p><p> </p><p><span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6px;">서울부동산정보광장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최근 조사된 주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전주 대비 상승폭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남3구(강남·서초·송파)는 일제히 오름세가 둔화되며 뚜렷한 하락 전환의 기로에 섰다는 평가가 나온다.</span></p><p> </p><p><span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6px;">노원·은평·도봉 등 외곽 지역의 상승세는 여전히 이어지고 있으나, 전체적인 상승 동력은 약화되는 모습이다. 실제로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21곳에서 매매가 상승폭이 줄었고, 거래량도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 시장에선 당분간 관망세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span></p><p> </p><p><span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6px;">전문가들은 이번 시장 변화가 일시적인 조정 국면이 아닌 중단기 조정 가능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span></p><figure class="image image-style-align-center"><img src="https://www.ehom.kr/news/2025/07/12/d2b5ca33bd970f64a6301fa75ae2eb22115153.png"><figcaption><span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4px;">[사진 출처: 서울지역 아파트 전경, 챗gpt 생성]</span></figcaption></figure><p><span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6px;">수원대학교 부동산학전공 노승철 교수는 <strong>“그동안 상승폭이 컸던 강남3구의 가격 흐름이 급격히 둔화되고 있다”</strong>며 <strong>“이번 대출 규제가 실제 자금 조달 능력에 제약을 가하면서 거래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앞으로 3~6개월간은 조정장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strong>고 말했다.</span></p><p> </p><p><span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6px;">한국은행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향후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실수요자들에게는 여전히 높은 이자 부담이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 정부가 잇달아 발표한 금융 규제는 투자 수요까지 압박하고 있어, 시장의 활력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span></p><p> </p><p><span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6px;">실제로 강남3구 일대 중개업소에 따르면 최근 아파트 매수 문의는 눈에 띄게 줄었으며, 일부 지역은 거래 자체가 끊긴 상태라는 반응이다. 송파구 잠실동 A공인중개사는 “가격은 여전히 높은데, 규제 탓에 대출도 어려워져 매수자가 관망하는 분위기”라며 “가격을 낮추는 급매물도 나오고 있지만 거래로 이어지진 않고 있다”고 전했다.</span></p><p> </p><p><span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6px;">한편 정부는 이달 내로 추가적인 대출 완화나 공급대책은 없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다만 시장상황에 따라 하반기 추가 조치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다.</span></p><p> </p><p><span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6px;">부동산 전문가들은 현재의 조정세를 부정적으로만 해석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최근 몇 년간 급격하게 상승했던 집값이 일정 수준 조정을 거치며 시장의 안정성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span></p><p> </p><p><span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6px;">노승철 교수는 <strong>“장기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지나친 가격 급등보다는 공급과 수요의 균형이 중요하다”</strong>며 <strong>“무리한 투자보다는 본인의 자금 여력을 고려한 실수요 중심의 접근이 바람직하다”</strong>고 강조했다.</span></p><hr><p> </p><p><span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6px;">서울 강남3구의 집값이 정부의 대출규제 여파로 상승세에 제동이 걸렸다. 이에 따라 3~6개월간 조정 국면이 지속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과열된 부동산 시장의 건전성을 회복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span></p><hr><p> </p><p><span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6px;">전반적인 부동산 시장은 현재 과열에서 안정기로의 전환기에 접어든 모습이다. 매수자들의 신중한 태도와 정부의 규제 기조가 지속되는 한, 단기적인 반등보다는 점진적인 조정이 이어질 전망이다. 실수요자 중심의 시장 형성과 정책적 안정성이 부동산 시장의 핵심 키워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span></p><p> </p><p> </p><p> </p><p> </p><p> </p><p> </p><p> </p><p> </p>
강남3구 집값 급등세 ‘브레이크’… “3~6개월 조정 이어질 가능성도”
6·27 대출 규제 여파 본격화… 급랭기 들어선 부동산 시장
서울 25개 자치구 중 21곳 상승세 꺾여… 관망세 뚜렷
거래량도 급감세… 전문가 “추가 조정 불가피할 수도”
작성
2025.07.12 11:52
수정
2025.07.12 11:53
RSS피드 기사제공처 : 라이프타임뉴스 / 등록기자: 박형근 정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마루오피스_ 책갈피 겸용 도형자 세련...
4,200원
자세히보기
마루오피스_ 책갈피 겸용 도형자 세련...
4,200원
자세히보기
마루오피스_ 책갈피 겸용 도형자 세련...
4,200원
자세히보기
마루오피스_ 책갈피 겸용 도형자 세련...
4,200원
자세히보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통합뉴스
전북특별자치도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인증한 국내 유일의 올림픽...
제7회 진안고원 김치보쌈축제 포스터 [사진=진안고원 김치보쌈축제 홈페이지] &nb...
분야별 전문가 90명 위촉… 대중문화교류위원회와 정책 소통 플랫폼 역할 기대. ...
한국관광공사(사장직무대행 서영충)는 롯데칠성음료, 밥상공동체와 함께 ‘취약계층 ...
인천광역시의회 정해권 의장 ‘대한민국 칭찬주인공 인천시 제1호’로 선정  ...
[투데이타임즈 유규상 기자]무안군(군수 김산)은 오는 11월 20일 오후 7시 20분, 승...
누구도 주목하지 않았던 한반도의 토종 밀은 일제의 수탈과 세계 전쟁을 거치며 인류의 굶주림...
포항시 산림병해충 예찰방제단은 20년 넘게 고사목 제거 작업을 해왔지만, 올해처럼 빠르고 ...
[투데이타임즈 유규상 기자]전라남도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의 지난 10년을 넘어 새로운 시작...
[투데이타임즈 유규상 기자]여수시(시장 정기명)는 오는 10월 18일부터 12월까지 매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