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여정’ 따라 기술 배치… KHF 2025, 구조 기획형 전시로 진화

기술 나열을 넘어, 구조를 기획하는 전시

오는 9월 17일부터 19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KHF 2025(국제 병원 및 헬스테크 박람회)’ 가 의료산업의 복잡한 흐름을 환자 여정에 따라 구조화한 산업 플랫폼형 전시회로 새롭게 선보인다.


이번 행사는 대한병원협회가 주최하고, 메쎄이상과 미래의료산업협의회가 주관하며, 전시 기획·실행을 총괄하는 메쎄이상은 기술과 수요를 환자 중심의 흐름으로 재배치해 의료 현장 중심의 경험형 전시로 구성할 계획이다.

환자 여정에 따라 6단계로 구성… 실제 기술 흐름 반영

Linked Healthcare, Human Plus’를 주제로 열리는 KHF 2025는 전시장을 환자의 실제 진료 흐름에 맞춰 △자가진단&예방 △병원 방문 △진단&검사 △치료 △지속가능 병원 △건강관리 등 6단계 구역으로 구성한다.


각 구역에는 유전체 기반 예측, AI 진단, 로봇 수술, 디지털 재활, 병원 자동화 등 실제 임상에서 사용 중이거나 상용화를 앞둔 기술이 배치된다. 이를 통해 병원 실무자는 단계별 솔루션을 구조적으로 탐색할 수 있으며, 참가 기업은 자사 기술이 환자 여정의 어느 지점에 기여하는지를 현장에서 설명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된다.

산업 수요 반영한 특별관 및 글로벌 비즈니스 프로그램 운영

올해 KHF 2025는 산업계 수요에 대응한 특별관과 부대행사를 대폭 강화한다. 특히 ‘의료폐기물 처리 특별관’ 이 신설돼 감염 관리, 폐기물 자동화, 에너지 절감형 소각 기술 등 지속가능 병원 운영 솔루션이 집중 조명된다. 관련 세미나를 통해 정책 변화와 기술 트렌드도 함께 조망할 예정이다.


해외 바이어를 대상으로 한 ‘K-Med 투어’ 는 해외 보건의료 관계자가 국내 병원을 직접 방문해 기술을 체험하고, 전시장 내 참여 기업과 1:1 비즈니스 상담으로 이어지는 구조로 기획됐다.

또한 KHF의 대표 프로그램인 ‘BUY MEDICAL’은 병원 구매 담당자와 참가 기업 간의 사전 매칭 상담회로, 의료기기·병원 솔루션·IT 인프라 분야에서 실제 계약 성과로 이어지는 실질적인 B2B 프로그램으로 자리잡고 있다.

기술 흐름을 기획하는 전시… 산업 구조와 수요를 연결

KHF는 12회에 걸쳐 병원과 기업 간 실질적 연결을 추진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의료산업의 복합 수요를 반영한 구조 설계형 전시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전시 기획을 총괄하는 메쎄이상은 “전시를 단순한 제품 나열이 아닌 기술 흐름을 읽고 수요자와 연결하는 실행형 플랫폼으로 진화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KHF 2025는 단순한 헬스케어 기술 전시를 넘어, 병원 실무 중심의 구조 설계, 의료산업 이해관계자 간 유기적 연결, 글로벌 기술 상용화 거점이라는 다층적 목표 아래 플랫폼형 전시 모델로 도약하고 있다.

‘KHF 2024’ 전시회 전경

■ 메쎄이상 소개

메쎄이상은 건축, 인테리어, 육아, 교육, 반려동물, 의료, 레저 등 20개 산업 분야에서 연간 90회 이상의 전시회를 개최하는 전시 전문 기업이다. 대표 전시회로는 코리아빌드, 메가주, 코베베이비페어 등이 있으며, 연간 150만 명 이상의 참관객을 유치하고 있다. 

메쎄이상은 빅데이터 기반의 전시 전략과 메타버스·디지털 기술 도입을 통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아우르는 새로운 전시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


작성 2025.07.10 15:22 수정 2025.07.10 19:09

RSS피드 기사제공처 : 소상공인연합신문 / 등록기자: 손광식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