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못 가는 곳, 드론이 간다’… K-드론배송 전국 166곳 확대

섬·갯벌·공원까지 K-드론배송 166개 지역으로 확대 운영

해루질 사고·의약품 운송 등 안전·의료서비스 지원 강화

국군 긴급의료품·혈액검체 배송 실증 사업도 추진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50개 지역에서 시행한 K-드론배송을 올해 166개 지역으로 확대한다고 밝혔으며 생필품 배송뿐 아니라 섬·갯벌 안전순찰, 의료품 운송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지원하며 드론이 생활 속 ‘생명선’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사진=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울주군 달빛 야영장 드론배송 장면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50개 지역에서 시행한 K-드론배송을 올해 166개 지역으로 확대한다. 생필품 배송뿐 아니라 섬·갯벌 안전순찰, 의료품 운송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지원하며 드론이 생활 속 ‘생명선’ 역할을 강화한다.

 

국토교통부는 한국형 드론배송체계인 ‘K-드론배송’의 시행지역을 지난해 50개에서 올해 166개 지역으로 대폭 확대한다고 밝혔다. K-드론배송은 국토부 가이드라인에 따라 드론비행로, 거점, 실시간 상황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는 체계로, 2024년부터 본격화됐다. 지난해에는 14개 지자체에서 섬 32곳, 공원 17곳, 항만 1곳 등 50개 지역에서 총 10,635km를 비행하며 2,993회 배송을 수행했다.

 

올해는 23개 지자체가 참여해 44개 섬과 122개 공원 등 전국적으로 드론배송을 확대한다. 생필품, 택배, 식료품 등 생활물품을 드론으로 운송해 섬 주민과 관광객 편의를 높인다.

 

국토부는 섬 지역 안전을 위한 공공서비스도 확대한다. 여수 상화도·하화도·제도에서는 해양경찰과 협력해 드론 해안순찰을 병행하고, 울주군 진하해수욕장에서는 하반기부터 드론 안전순찰을 시작한다.

 

보령 고대도·장고도·삽시도에서는 폐의약품을 수거해 원산도까지 드론으로 운반한 뒤 보건소에 인계할 계획이다. 인천 덕적도 인근 해변에서는 해양쓰레기를 드론으로 수거하고, 무의도·영흥도 갯벌에서는 해루질 사고 예방을 위한 드론 모니터링을 운영한다. 올해 이 서비스로 4명이 구조되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섬 주민이 생산한 수산물을 육지로 보내는 ‘역배송’ 서비스도 진행된다. 제주 가파도에서는 해녀가 채취한 성게알을 제주 본섬까지 하루 최대 5kg, 선착순 10명에게 500g 단위로 배송하며, 비양도에서는 새조개·한치·코끼리조개 등을 금능선착장 거점으로 역배송한다.

 

도심지 공원·관광지에서도 드론배송이 활성화된다. 성남시는 7~8월 탄천변 금곡공원 물놀이장, 구미동 애견놀이터·맨발황톳길 등에서 드론배송을 운영하며, 9월부터는 중앙공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울주군에서는 간월재 억새군락지, 작천정 별빛야영장, 서생 대바위 공원 등 15곳에 음식물과 생필품을 드론으로 배송한다.

 

의료품 배송 실증사업도 추진된다. 대전시에서는 국군대전병원과 적십자 대전혈액원 간 15km 이상 장거리 혈액검체 운송을 드론으로 수행하는 도심배송 실증을 진행해 군 긴급의료체계에 K-드론배송을 시범 적용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주종완 항공정책실장은 “K-드론배송을 전국으로 확대해 국민 편익을 높이고, 갯벌 안전 모니터링도 타 지자체로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비행 전 위험평가와 기체 상태 점검을 의무화하고, 한국교통안전공단을 통한 배송업체 안전관리도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작성 2025.07.06 13:38 수정 2025.07.06 13:38

RSS피드 기사제공처 : 부동산이슈저널 / 등록기자: 강태웅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