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 사업을 통해 홀로 병원을 방문하기 어려운 도민에게 진료 예약부터 접수, 수납, 귀가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해당 사업은 민선 8기 핵심 공약 중 하나로, 지난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확대되며 올해까지 누적 이용 건수가 1만7천여 건에 달한다.
이 사업은 ‘경기도 1인가구의 기본 조례’에 따라 도입되었으며, 대상은 실제적인 1인가구로 분류되는 한부모, 노인, 조손가구 등이다. 병원 동행 전문 인력으로는 요양보호사, 간호조무사, 사회복지사 등이 투입되며, 병원 진료 시 요청에 따라 진료실 동행도 가능하다. 현재 성남, 안산, 광명, 양평 등 11개 시군에서 서비스를 운영 중이며, 서비스 요금은 3시간 기준 5천 원, 교통비는 이용자 부담이다. 신청은 해당 시군의 1인가구지원센터, 가족센터, 민원24 앱 등을 통해 가능하다.
서비스 실적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첫 시행해인 2023년에는 4,237건, 2024년에는 8,497건을 기록했으며, 올해는 5월 말 기준 이미 4,626건이 제공됐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동행지원 2,011건, 유사서비스 연계 93건, 상담 2,522건을 수행하며 전년도 실적의 절반 이상을 달성하는 등 수요 증가세가 뚜렷하다.
이용자의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지난해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동행인의 친절도, 서비스 이용 편의성 등 모든 항목에서 평균 4.98점을 기록했다. 실제 사례집에 따르면, "혼자 살아 병원에 가는 것이 막막했는데, 동행인의 도움으로 삶의 희망을 되찾았다"는 한 이용자의 소감이 실려 있다. 이는 단순한 행정 서비스를 넘어 1인가구의 정서적 안정까지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경기도는 서비스의 전문성과 품질 강화를 위해 실무교육도 강화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경기상상캠퍼스에서 사업 담당자와 동행인 등 58명을 대상으로 응급처치, 민원 응대, 감정노동 관리 등을 포함한 직무 교육을 실시했다. 또한 오는 2026년까지 차량 지원 등 실증특례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서비스 인프라를 더욱 확장할 계획이다.
도 여성가족국장은 “병원 이용이 어려운 1인가구가 안심하고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며 “앞으로도 1인가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각적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요약 및 기대효과
혼자 아플 때 가장 무섭다. 경기도는 이러한 두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를 통해 함께 걸어주는 동반자가 되어주고 있다. 앞으로 이 서비스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병원 동행의 사각지대가 사라지기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