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세 시대 돌입?” 8일 종료되는 유예, 산업 전반 흔든다

트럼프의 관세 카드, 이번엔 한국도 예외 아니

기본 10%에 상호 25%까지… 전방위 타격 불가피

GDP 0.4% 하락 예상… 협상 연장 없이 뉴노멀화 우려

 

관세 유예 종료 시 한국 수출 품목 대부분이 고율의 상호 관세 부과 대상이 됨

자동차, 철강을 넘어 전 산업으로 피해 확산 우려

GDP 최대 0.4% 하락 가능성 제기

[사진 출처: 선적 중인 자동차 모습, 챗gpt 생성]

 

오는 8일로 예정된 미국의 상호 관세 유예 종료가 다가오면서 국내 산업계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조치가 예정대로 종료되거나 일부 국가만 유예 대상에서 제외된다면, 한국을 비롯한 주요 수출국은 최대 25%에 달하는 상호 관세 부담을 떠안게 된다.

 

현재 한국은 미국으로의 수출에 대해 기본 관세 10%를 적용받고 있으며, 여기에 자동차 및 부품에는 25%, 철강과 알루미늄에는 최대 50%의 품목별 관세가 이미 부과되고 있다. 여기에 추가적인 국가별 상호 관세 25%까지 적용된다면, 자동차와 철강 업종에 국한된 타격이 전 산업으로 확산될 수 있다.

 

무역 업계는 이러한 변화가 단기적으로 수출 가격 경쟁력을 급격히 저하시키고, 중장기적으로는 공급망 구조를 흔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자동차 산업의 경우 부품 조달과 현지 생산에 대한 전략 재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 조치가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충격을 줄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한국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 또한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실제로 모든 관세가 적용될 경우, 국내총생산(GDP)은 약 0.4%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금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강화하고 있는 만큼, 이번 유예 종료를 통해 고관세 체제가 일종의 ‘뉴노멀’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와 산업계는 외교적 협상 및 통상 전략의 전면 재조정을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번 관세 유예 종료는 단순한 통상 문제를 넘어 한국 산업 전반의 경쟁력과 수출 구조를 흔드는 사건이 될 수 있다. 새로운 무역 질서 속에서 고관세가 일상화되는 상황을 대비한 다각도의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

 

 

 

 

 

 

 

 

 

박형근 정기자 기자 koiics@naver.com
작성 2025.06.30 21:46 수정 2025.06.30 23:03

RSS피드 기사제공처 : 라이프타임뉴스 / 등록기자: 박형근 정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