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란 무엇입니까?”
이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라, 인생과 예술의 본질을 꿰뚫는 궁극의 물음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너무 자주 이 질문을 미루고 살아갑니다. 음악으로 일하고, 음악으로 삶을 꾸려가지만, 정작 ‘음악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진지하게 던지지 않은 채, 일상과 현실에 휩쓸려 살아갑니다. 어느 날 문득 지쳐 있고, 이유 없이 허무하며, 음악이 더 이상 감동으로 다가오지 않을 때, 그때 우리 안에 던져야 하는 질문입니다. 나는 왜 음악을 시작했는가? 나는 지금도 그 이유를 기억하고 있는가?
이 책은 그런 질문을 잊지 않으려는 사람들을 위한 책입니다.
만약 당신이 단지 ‘운영이 잘되는 방법’, ‘마케팅 전략’, ‘등록을 늘리는 기술’만을 찾고 있다면, 이 책은 아마 당신을 실망 시킬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당신이 음악이란 무엇인가, 나는 왜 음악을 하는가, 왜 이 일을 계속해야 하는가에 대해 진심으로 고민하고 있다면—그렇다면 이 책은 당신의 손에 머물러도 좋습니다.
왜냐하면 본질을 묻는 사람만이 진짜 방법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질문은 중심을 만들고, 중심은 흔들리지 않게 합니다. 질문이 없는 열정은 곧 방향 없는 열심이 되고, 방향을 잃은 열심은 오래가지 못합니다. 저는 이 책을 ‘기술서’가 아니라, 그런 질문을 안고 걸어가는 사람들을 위한 ‘동행의 책’으로 쓰고 싶었습니다.
클래식 음악이 우리 삶을 바꾸는 이유는, 그것이 단지 ‘소리’가 아니라 영혼 깊은 곳까지 닿는 신성한 감동이기 때문입니다. 클래식 음악은 들을수록 내면이 맑아지고, 비워지고, 다시 채워지는 순환을 만들어냅니다. 음악은 인간의 가장 본질적인 고통조차 승화시키고,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들을 가장 순결한 형태로 전달합니다. 그렇기에 음악은 단순한 감상의 대상이 아니라, 존재의 깊은 차원을 터치하는 ‘언어 이전의 언어’이자 ‘삶 전체를 관통하는 예술’입니다.
그런 음악을 가르치는 이라면, 먼저 이 질문 앞에 서야 합니다.
나는 왜 음악을 하는가?
나는 왜 음악학원을 운영하는가?
정확히 말해, 그 질문을 하지 않는 사람은 교육자가 아니라 단순한 운영자일 뿐입니다. 클래식 음악은 ‘기술’이 아닌 ‘존재의 태도’를 가르치는 일이기에, 음악교육의 최전선에 있는 이들이 먼저 이 물음과 씨름하지 않으면, 누구도 감동시킬 수 없습니다.
클래식 음악은 인간의 감정을 가장 정결하게 담아내는 통로입니다. 피아노 교육은 그저 악기를 연습시키는 일이 아니라, 정서를 다듬고 감성을 길러내는 영적 작업입니다. 아이들에게 음악을 꾸준히 배우게 하려면, 부모의 이해가 바뀌어야 하고, 부모의 인식을 바꾸려면 가르치는 우리가 먼저 음악의 본질을 이해해야 합니다.
나는 지금까지 클래식 음악을 너무 많이 들어서 잘못되었다는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오히려 클래식 음악은 수많은 이들에게 위로가 되고, 내면의 긴장을 풀어주며, 때로는 그 사람을 다시 일으켜 세우는 생명의 에너지였습니다. 음악은 태중에서부터 우리를 감싸고, 죽음의 순간까지도 우리를 배웅합니다. 음악은 단지 직업이 아니라, 삶 그 자체입니다.
학원 운영도 마찬가지입니다.
방법을 익히는 것도 중요합니다. 마케팅도, 등록 전략도, 상담 기술도 필요합니다. 그러나 중심이 없다면, 그 모든 방법은 금세 낡아지고 흔들립니다. 질문이 있는 사람만이 흔들리지 않습니다. 질문이 깊은 사람만이 결국 길을 찾습니다.
그래서 나는 다시 묻습니다.
“당신에게 음악이란 무엇입니까?”
이 질문이 바로, 당신의 학원과 삶을 다시 일으킬 시작점이 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