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정부 추경에 따라 2025년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사업 국비 547억 원을 확보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정부 전체 추경액 4,000억 원의 약 14%로, 전국 최대 규모다.
확보한 국비 중 456억 원은 도내 22개 시군의 지역사랑상품권 할인 지원에 사용되며, 나머지 91억 원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등 5개 시군에 대한 추가 할인 지원금으로 배정됐다.
경북도는 이번 지원이 역대 최악의 산불 피해를 입은 지역 소상공인과 골목상권 회복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는 지난해 말 국비 미편성 상황에서도 본예산에 도비 10억 원을 편성해 연초부터 상품권을 집중 발행하는 등 선제 대응에 나섰으며, 이번 추경에서는 70억 원을 추가 확보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피해지역 지원에 박차를 가했다.
또한 행정안전부에 국비 지원과 특별재난지역 추가지원을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시군과의 협력 체계를 강화한 결과 올해 국비를 전국 최대 규모로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에 따라 올해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규모는 1조 3,46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사랑상품권은 지역 내 소비 촉진과 자금의 역외 유출 방지를 목적으로 1999년부터 도입돼, 현재 시군별로 지류, 모바일, 카드 등 다양한 형태로 발행되고 있다.
현재 도내 가맹점 수는 약 12만 4,000여 곳으로, 도내 전체 소상공인(약 38만 개소)의 31%에 해당한다. 주요 사용처는 연 매출 30억 원 이하의 음식점, 주유소, 슈퍼마켓, 학원, 편의점 등으로, 지역 소비자와 소상공인 모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지역별 할인율은 일반지역(포항, 경주, 김천, 구미, 경산, 칠곡, 예천) 7%, 인구감소지역 10%이며, 특별재난지역은 이 기본 할인율에 최대 10%의 국비 추가 할인이 더해진다.
2024년 도내 지역사랑상품권 총 발행액은 약 1조 5,000억 원으로, 도민 1인당 연간 약 60만 원, 가맹점당 평균 1,200만 원의 매출 효과를 기록했다. 특히 주요 사용처는 대부분 음식점이며, 편의점, 정육점, 카페, 베이커리 등 일상 소비 영역 전반에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군별로는 농어민수당,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전입지원금 등 각종 정책사업에도 상품권이 활용되며 지역경제 회복에 적극 기여하고 있다.
최영숙 경북도 경제통상국장은 “전국 최대 규모의 국비 확보를 통해 산불 피해와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며 “향후 지역사랑상품권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적정 발행규모 도출 등을 위해 연구용역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