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는 6월 13일(금) 동인청사에서 ‘제4차 대구라이즈위원회’를 개최하고, 지역 내 10개 대학과 함께 라이즈(RISE) 체계의 성공적 추진과 성과 창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정기 대구광역시장 권한대행 행정부시장을 비롯해 2025년 라이즈 사업 수행대학으로 선정된 지역 10개 대학 총장들이 참석해, 대구형 라이즈 비전과 핵심 목표를 공유하고 협력 의지를 다졌다.
대구시와 10개 대학은 ▲지역 라이즈 목표 달성을 위한 성과 창출 및 관리, ▲선도모델 발굴과 확산을 통한 성공적인 사업 수행, ▲산학연관 협업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등 올해 본격 시행되는 라이즈 사업의 내실 있는 추진을 위해 긴밀한 협력을 약속했다.
대구형 라이즈 사업은 ▲지산학 연계 대학교육 혁신, ▲5대 미래산업 맞춤형 인재 양성, ▲취·창업 연계 대학-기업 협력 강화, ▲정주 여건 및 지역사회 혁신 등 4대 프로젝트와 17개 단위 과제를 중심으로 운영되며, 올해 1차년도 사업비로 765억 원이 투입된다.
대구시는 향후 5년간 ▲5대 미래산업(반도체, 미래모빌리티, 로봇, 디지털헬스케어, ABB) 종사자 6만 명 육성, ▲일반대 정주취업률 25%, 전문대 45% 달성, ▲기술기반 창업기업 1만 개 달성을 주요 목표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협약식 이후 열린 ‘제4차 라이즈위원회’에서는 2025년 라이즈 사업 기간 확정(안)과 대구형 라이즈 기본계획 수정안 등 주요 안건이 심의·의결됐다.
대구시는 향후 대학별 사업 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프로젝트별 협의체 구성·운영, 초광역 및 범부처 연계 사업 발굴, 산학협력 모델 다변화 등을 통해 지역 라이즈 사업의 외연 확대와 질적 성장을 동시에 도모해 나갈 방침이다.
김정기 권한대행은 “이번 협약은 지자체와 대학이 지역 혁신의 주체로 함께 나아가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대구형 라이즈 체계가 전국을 선도하는 지역혁신 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