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대표 디지털 플랫폼 기업 카카오가 경기도 남양주 왕숙지구에 6천억 원 규모의 AI 기반 디지털 허브를 건립하기로 하면서, 경기북부가 첨단 AI 산업의 거점으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하였다.
경기도는 13일 경기도청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정신아 카카오 대표, 주광덕 남양주시장,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AI 기반 디지털 허브 건립 투자협약’을 체결하였다.
협약에 따르면 카카오는 남양주 왕숙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 내 약 3만4천㎡ 부지에 총 사업비 6천억 원을 들여 AI 기반 디지털 허브를 조성할 계획이다. 2026년 착공해 2029년 준공이 목표이다. 경기도와 남양주시는 부지 확보, 인허가 등 행정 지원을 전담하고 LH는 산업단지 조성과 부지 공급을 맡는다.
이번 투자는 민선 8기 경기도가 추진 중인 ‘투자유치 100조+’, 경기북부대개조 사업의 일환으로 성사되었다. 그간 수도권 규제와 역차별로 어려움을 겪던 경기북부에 대규모 첨단기업 투자를 끌어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경기도는 지난해 9월부터 투자 설명회와 팸투어, 전략 합동회의 등을 통해 카카오 유치에 공을 들였다. 특히 카카오가 디지털 허브 부지를 물색한다는 소식을 접한 직후부터 남양주시와 손잡고 설득 작업을 이어갔다. 결국 올해 2월 전략 합동회의를 거쳐 이번 투자 협약이 성사되었다.
김동연 지사는 “다보스 포럼에서 AI 기술 진보의 중요성을 여러 차례 확인했다”며 “카카오의 AI 디지털 허브 유치를 통해 경기북부에 AI 문화산업벨트를 완성하고, 북부 대개조 사업이 흔들림 없이 추진되도록 모두가 힘을 모아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AI 대중화 시대를 맞아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A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AI 허브를 핵심 인프라로 구축하겠다”며 “지역 발전과 상생을 위한 협력도 계속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이번 디지털 허브를 단순한 연구·개발 공간으로 그치지 않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마련해 스타트업과 시민에게 개방할 예정이다. 또한 경기도민 우선 채용,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 시민 참여형 AI 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상생 프로젝트를 운영한다.
경기도는 이번 투자를 통해 파주·의정부·남양주를 아우르는 북부 AI 문화산업벨트를 비롯해 도내 5대 산업벨트 전략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왕숙지구는 이미 공공주택지구로 지정되어 2023년 착공했으며, 도시첨단산업단지로서 자족 기능도 함께 키워갈 예정이다.
경기도 투자진흥과 관계자는 “이번 대규모 투자를 시작으로 경기북부가 대한민국 AI 산업의 새로운 심장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행정적·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상담: 010 6438 88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