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겨울철 독감(인플루엔자) 유행 확산에 대응해 감염에 취약한 복지시설 4,930개소에 마스크 600만장을 긴급 지원하기로 했다. 시는 노인요양시설, 장애인복지시설, 노숙인 생활시설 등 감염 위험이 높은 시설을 중심으로 총 12억 원 규모의 방역물품을 지원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독감 환자 발생이 급증하면서 감염취약시설 내 집단감염 우려가 커진 데 따른 선제 대응이다. 특히 마스크 착용이 일상적으로 어렵거나 외부 활동이 잦은 시설 이용자와 종사자들의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마련됐다.

서울시는 이번 지원을 통해 약 30만 명의 이용자 및 종사자에게 1인당 평균 20장의 마스크를 공급한다. 공급 대상은 노인요양시설, 장애인거주시설, 지역사회 재활시설, 노숙인 보호시설 등이며, 시와 자치구가 협력해 신속한 배포가 이뤄질 예정이다.
서울시 복지정책실 관계자는 “독감 확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고위험군 보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마스크 보급뿐 아니라 시설 내 감염관리 지침을 강화하고, 발열 및 호흡기 증상자 발생 시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는 또한 자치구 보건소와 연계해 취약시설 내 예방접종률 제고에도 나설 계획이다. 현재까지 서울시의 인플루엔자 유행 기준치는 이미 초과한 상태로, 시는 감염 예방을 위한 개인 위생 관리와 마스크 착용을 지속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독감뿐 아니라 코로나19와 같은 호흡기 질환이 동시 유행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시민들의 자발적인 방역 참여가 절실하다”며 “이번 지원을 통해 감염에 취약한 시민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해에도 감염취약시설에 KF94 마스크와 손소독제 등을 지원한 바 있으며, 올해는 공급량을 1.5배 확대해 보다 촘촘한 방역망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독감 확산에 따른 감염취약시설의 방역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스크 600만장을 신속히 배포한다. 이를 통해 약 30만 명의 이용자와 종사자의 감염 예방 효과가 기대되며, 겨울철 호흡기 질환 유행기에 취약계층의 건강 보호와 사회복지시설의 안전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