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영도의 매력을 재해석한 ‘보물섬 영도’ 전시
부산 영도가 또 한 번 주목받고 있다. 바다와 항만으로 대표되던 이 섬이 최근 ‘문화섬’으로 재조명되면서 지역 정체성을 새롭게 드러내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영도는 오래전부터 부산의 관문 역할을 해 왔고, 역사적 사건과 삶의 흔적이 층층이 쌓인 장소다. 이러한 배경 위에서 부산근대역사관이 오는 2025년 11월 18일부터 2026년 3월 2일까지 특별기획전 ‘부산의 보물섬 영도’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영도를 단순한 관광지가 아닌, 기억과 문화가 어우러진 공간으로 바라보는 시도를 담고 있어 지역사회와 관광 업계를 동시에 자극하고 있다.
이번 전시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한 영도 재현’이라는 전시 연출 방식이다. 포스터 속 영도는 봉래산의 녹음, 바다를 가르는 선박, 물질을 하는 해녀, 바다 위로 연결되는 다리, 섬 주변을 맴도는 갈매기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는 실제 영도의 풍경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어린이 동화책에 등장할 법한 따뜻한 분위기로 재해석된 것이다.
부산근대역사관은 이번 전시에서 이러한 감성적 이미지들을 전시 공간 곳곳에 배치해 관람객이 마치 영도의 골목과 바다를 산책하는 듯한 경험을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단순한 풍경 소개를 넘어, 영도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노동·문화·삶의 기록을 시각적으로 풀어냄으로써 지역 생활사를 친근하게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 핵심 기획 의도다.
영도는 최근 다양한 방식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해양산업의 중심지라는 전통적 정체성에서 벗어나 영화·문학·예술 등 문화 콘텐츠의 원천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번 ‘보물섬 영도’ 전시는 이러한 흐름을 체계적으로 담아내 지역문화 아카이브의 성격까지 갖추게 됐다.
특히 관람객은 전시를 통해 영도가 단지 여행지나 촬영 명소가 아니라, 다양한 시대의 사회·경제·문화적 변화를 담아낸 섬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이를 통해 지역문화가 단순 소비 대상이 아니라 하나의 창작 자원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부산의 도시 문화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논의도 제기하고 있다.
2025~2026 겨울 시즌을 겨냥한 이번 특별전은 ‘체험형 지역 전시’라는 점에서도 실험적 성격을 갖는다. 디지털 장치보다 감성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구성한 연출 방식은 지역 박물관이 가진 한계를 벗어나 관람 동선을 ‘몰입형 이야기’로 전환시키고 있다.
부산근대역사관은 가족 단위 관람객,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을 주요 관람층으로 설정하고, 전시 공간을 하나의 동화적 세계로 확장했다. 이 같은 방식은 최근 국내외 박물관에서 시도되는 감성 기반 전시 트렌드와도 연결된다. 지역문화의 고유성을 유지하면서도 관람객 접근성을 강화한 점에서 부산 지역 박물관의 미래형 운영 모델로 평가된다.
‘보물섬 영도’ 전시는 단순한 지역 홍보 차원을 넘어 도시문화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기능할 전망이다. 영도의 자연·산업·생활사를 동시에 다루는 이번 전시는 지역의 기억을 보존함과 동시에 미래 관광·교육 콘텐츠로 재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부산근대역사관은 전시를 통해 영도를 “현재와 과거가 공존하는 문화섬”으로 재정의하려 한다. 이는 단편적 이미지가 아닌 복합적 정체성을 가진 지역이라는 인식을 확산하는 작업으로 이어질 것이다. 앞으로 영도가 단순히 바다 풍경을 감상하러 찾는 섬이 아니라, 부산의 문화적 잠재력을 품은 거점 공간으로 자리 잡을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