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년 중소벤처기업부가 제조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한 ‘중소기업 혁신바우처 지원사업’ 1차 공고를 발표했다. 이번 사업은 한 해 동안 기업이 필요로 하는 컨설팅·기술지원·마케팅을 한 번에 묶어 지원하는 패키지형 프로그램으로, 선정 기업은 최대 5,000만 원 한도 내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올해 정부안 기준 예산은 652억 원으로 전년 대비 38억 원 증가해 지원 폭을 더욱 확대했다.
혁신바우처는 기업의 성장단계와 필요 영역에 따라 △일반 △탄소중립 △중대재해예방 △재기컨설팅 등 4개 유형으로 구성된다. 각 유형은 기업의 업종과 상황별로 필요한 서비스를 조합해 바우처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형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제조 소기업을 대상으로 전문가 진단 후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하며, 탄소중립형은 온실가스 저감 잠재력이 큰 기업을 위해 친환경 경영 혁신을 중점적으로 돕는다.
중대재해예방형은 안전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전문 컨설팅과 기술지원을 포함하고, 경영 위기를 겪는 기업을 위한 재기컨설팅형은 구조조정·재창업·사업정리 등 필요한 영역별 서비스를 포함한다.
올해 사업에서 특히 눈에 띄는 변화는 비수도권에 대한 우대지원 확대다. 정부는 인구감소 지역 중 광역시 자치구를 제외한 84개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을 ‘특별지원지역’과 ‘우대지원지역’으로 세분화하고 보조율을 차등 적용한다.
균형발전과 낙후도 지표가 낮은 40개 지역은 15%p 우대, 우대대상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44곳은 10%p 우대, 그 외 비수도권 일반지역 83개 시·군·구는 5%p 우대 혜택을 받는다. 정부는 이를 통해 지역 제조 중소기업의 성장 격차를 완화하고 지역 산업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신청 절차 개선도 중요한 변화다. 기존 16개 항목이던 신청서 항목이 6개로 대폭 축소되었으며, ‘원클릭 시스템’ 도입으로 기업이 반복 제출하던 재무제표·인증서·지식재산권 자료 등이 자동 연계된다. 이는 바우처 플랫폼과 국세청·특허정보원 데이터베이스가 연동되면서 가능한 구조로, 참여 기업의 행정 부담을 크게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제도 개선도 포함됐다. 수요기업의 서비스 이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활용률이 낮은 항목은 정비하고, 공급기업에 대한 성과평가를 강화해 평가등급에 따라 인센티브 또는 페널티를 적용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서비스 품질의 편차 문제를 개선하고, 기업이 실제로 체감하는 성과 중심의 바우처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는 제조업 기반이 취약해진 지역 경제의 현실을 언급하며 “지방 제조기업은 지역산업 생태계의 핵심 기반”이라 강조했다. 또한 “제조 중소기업들이 현장에서 필요한 컨설팅과 기술지원을 체계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혁신바우처 제도를 더욱 강화하고, 기업이 실질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지원 체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혁신바우처 사업 공고는 11월 12일부터 중기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희망 기업은 혁신바우처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 신청을 진행하면 된다.
세부 문의는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중진공 콜센터(1811-3655)에서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