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정신건강 위기 대응의 컨트롤타워인 ‘서울시정신응급합동대응센터’를 통해 지역사회의 신속한 정신응급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2025년 서울 시민 정신건강 인식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1년간 1개 이상의 정신건강 어려움을 경험한 서울 시민은 10명 중 7명에 달했다. 이는 정신건강 문제가 특정 소수의 문제가 아닌 대다수 시민이 직면할 수 있는 보편적인 문제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어려움이 방치될 경우 ‘정신응급 상황’으로 악화될 수 있어 예방만큼이나 신속한 대응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2022년 10월부터 ‘서울시정신응급합동대응센터’를 개소하여 신속한 현장 대응과 치료 연계를 추진해왔다. 이 센터는 서울시와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가 서울경찰청과 협력하여 구축한 협의기구로, 전국 최초로 정신건강전문가(정신건강전문요원)와 경찰이 하나의 팀으로 움직이는 ‘One Team’ 모델을 구현했다. 센터의 전문인력은 100% 정신건강전문요원으로 구성되어 현장에서 즉각적인 평가, 개입, 연계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센터는 2024년 6월부터 자살 관련 출동 기능을 통합 운영하며 대응 범위를 대폭 확장했다. 그 결과 현장 대응 건수는 2023년 519건, 2024년 739건, 2025년 847건(10월 현재)으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였다. 즉시 치료가 필요한 경우 경찰과 소방의 협조로 서울시 정신응급 공공병상 등으로 연계하고 있으며, 2025년 기준 정신과 치료를 위해 응급 입원 조치한 비중은 51.8%, 상담 등을 통해 안정돼 보호자에게 인계된 비중도 43.5%로 나타나 실효성 있는 현장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증명했다.
정신응급 대응은 단일 기관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서울시, 경찰, 의료기관, 소방, 정신건강복지센터 등 다양한 기관의 유기적인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이승연 부센터장은 “서울시정신응급합동대응센터의 원활한 운영은 서울특별시와 서울경찰청 관계자들의 관심과 현장 직원들의 노고 덕분”이라며, “앞으로 센터가 지역사회 위기 대응 모델로 더욱 확고히 자리 잡도록 노력하고, 평일 야간과 휴일에 연계할 수 있는 지역사회 기관을 적극 확충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2005년 전국 최초로 개소한 광역형 정신건강복지센터로서, 서울시민들의 정신건강 향상과 정신질환 예방을 위해 정신건강증진기관들과 협력해 다양하고 전문적인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