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했다’는 말 속의 예술

점수의 언어로 말할 수 없는 상처, 그러나 예술로는 말할 수 있다

실패를 사유하는 철학: 니체에서 들뢰즈까지, 상처의 생산성

책상 위에 펜과 구겨진 시험지, 그 위에 적힌 ‘망했다’라는 낙서와 옆의 노트에 그려진 작은 드로잉

 

 

 

 

 

‘망했다’는 말 속의 예술

  • - 수능 이후의 창의적 상처학
  •  

 

11월의 찬 공기 속에서 끝난 수능 시험장 앞.

누군가는 웃고누군가는 조용히 고개를 떨군다.

망했다는 짧은 한마디가 교문 앞을 떠돌지만그 말에는 단순한 결과 이상의 감정이 숨어 있다.

그것은 좌절이 아니라세계와 자신을 다시 정의하려는 인간적 몸부림의 언어다.

수능은 단지 시험이 아니라, ‘존재가 평가받는 체험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망했다는 말은 철학적이다.

그 말 속에는 인간이 세계를 이해하고 스스로를 새롭게 창조하려는 첫 번째 질문이 숨어 있다.

 

시험 점수는 인간을 숫자로 환원한다.

그러나 상처는 숫자로 표현되지 않는다.

누군가는 낙서를 하고누군가는 시를 쓴다.

실패의 감정은 언어를 흔들고그 틈에서 창의성이 발생한다.

미술치료학자 루이즈 프리드먼은 예술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을 위한 제3의 언어라고 했다.

망했다는 감정이 예술적 언어를 통해 재구성될 때상실은 의미로 변한다.

이것이 바로 상처의 미학이다 — 고통을 사유로 바꾸는 창조의 기술.”

 

니체는 상처는 힘의 흔적이다라고 했다.

그는 인간이 고통을 통해 스스로를 초월할 수 있다고 믿었다.

들뢰즈는 이러한 고통을 생성의 계기로 본다.

실패는 새로운 자기의 탄생을 위한 통과의례다.

수능에서의 실패 또한 마찬가지다.

그것은 한 인간이 타인의 기준을 넘어 자기만의 사유로 나아가는 철학적 전환의 순간이다.

철학은 상처를 치유하지 않는다.

대신 그것을 사유의 재료로 바꾼다.

그것이 바로 창의적 상처학의 핵심이다.

 

21세기의 교육은 더 이상 암기의 경쟁이 아니라 회복력(resilience)의 경쟁이다.

정답을 맞히는 능력보다 중요한 것은실패 이후에도 다시 일어나는 힘이다.

심리학자 캐럴 드웩은 이를 성장 마인드셋이라 불렀다.

이제 청춘은 성적표보다 자신만의 창의적 치유 일기를 써야 한다.

그 일기 속에서 고통은 소재가 되고상처는 언어가 된다.

예술글쓰기철학대화 — 그것들이야말로 수능 이후의 진짜 공부다.

 

수능은 끝나지만삶은 계속된다.

망했다는 말은 끝났다의 언어가 아니라 다시 시작한다의 은유다.

그 말 속에는 아직 살아 있는 사유의 불씨가 있다.

그 불씨를 예술로철학으로자기 언어로 키워 나가는 일이야말로 진정한 치유다.

결국 청춘의 상처는 그 자체로 하나의 예술이다.

그리고 그 예술은 다시 쓰는 용기에서 시작된다.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기자 kjh0788@naver.com
작성 2025.11.13 09:21 수정 2025.11.13 09:21

RSS피드 기사제공처 :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 등록기자: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