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상 나눔] 애통함이 영혼을 깨우는 순간

에스라 9장 1-8절

 

 

 

애통함이 영혼을 깨우는 순간

 

 

사람은 누구나 잘못을 저지른 순간 본능적으로 그것을 숨기거나 합리화하려는 경향이 있다그러나 어떤 이들은 그 죄를 있는 그대로 마주하고고통스러운 무게 앞에서 애통함을 느끼며 변화의 문을 연다죄를 향한 애통함은 자기를 비난하려는 파괴적 감정이 아니라인간의 영혼을 다시 일으키는 첫 관문이다에스라는 이스라엘 공동체의 죄를 듣고 곧바로 옷과 겉옷을 찢고” 슬퍼했다이 장면은 죄에 대한 애통함이 개인과 공동체의 회복을 어떻게 시작시키는지 강렬하게 보여준다오늘의 신앙 현실 속에서도 이 애통함의 근원적 의미를 되짚어 보는 일은 여전히 깊은 의미를 지닌다.

 

죄를 인식하는 순간 찾아오는 불편함은 대부분 감정의 문제가 아니라 진실과의 충돌’ 때문이다사람은 스스로 옳기를 바라는 존재다그 때문에 죄는 인간의 자기 이미지와 충돌하며 불안과 회피를 낳는다이스라엘 공동체가 다른 민족의 관습에 동화되며 신앙적 정체성을 잃어갔을 때그들은 그 심각성을 자각하지 못했다죄는 종종 그렇게 조용히 스며들어 정상처럼 느껴지게 만든다하지만 죄에 대해 애통함을 느끼는 사람은 이 굳어진 감각을 깨뜨린다이는 자신이 행한 잘못을 정직하게 바라보고자 하는 내면의 용기에서 비롯한다.

 

죄에 대한 애통함은 단순한 자책이 아니다그것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멀어진 순간 느껴지는 영적 불편함이며곧 다시 돌아가고자 하는 마음의 신호다에스라가 죄 가운데 있는 백성을 보고 주저앉아 슬퍼한 이유도 자신과 공동체 사이에서 무너진 관계의 틈을 감지했기 때문이다죄를 향한 애통함은 인간의 존엄을 훼손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영혼이 여전히 살아있다는 증거다애통함을 경험하는 사람은 영혼의 감각을 잃지 않았고회복을 향한 문을 스스로 열어젖히고 있다.

 

구약에서 옷을 찢는 행위는 단순한 감정 표현이 아니라 죄와 고통에 대한 깊은 인식그리고 하나님 앞에서의 겸손을 상징한다에스라가 보여준 반응은 과장된 슬픔이 아니라공동체의 신앙적 정체성이 무너졌다는 사실을 무겁게 받아들인 영적 지도자의 몸부림에 가깝다그는 죄의 문제를 정면으로 마주했고진실이 드러나는 순간 애통함으로 반응했다이 찢어진 마음은 하나님이 가장 기뻐 받는 태도로화려한 제사보다 회개하는 마음을 더 귀하게 여기는 성경의 일관된 주제와 연결된다.

 

애통함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에스라 9장은 공동체가 죄를 직면한 후 다시 정체성을 회복해 가는 서사의 첫 머리다죄를 깨닫고 애통해하는 순간하나님은 그 마음의 진실을 보시고 회복의 길을 열어 주신다오늘을 사는 신앙인에게도 적용되는 원리다죄를 인정하는 용기회피하지 않는 자세애통함을 통해 스스로 낮아지는 태도는 개인뿐 아니라 공동체 전체를 변화시키는 힘을 갖는다죄를 바라보는 관점이 바뀔 때삶의 방향 역시 새로워진다.

 

죄에 대한 애통함은 인간을 무너뜨리려는 감정이 아니다오히려 더 깊은 생명력으로 이끌어 주는 영적 통로다에스라의 애통함은 하나님 앞에서의 진실한 마음이 어떤 변화를 시작시키는지 강렬하게 보여준다오늘을 살아가는 이들에게도 죄를 인정하고 애통함을 품는 태도는 여전히 유효하다그것은 영혼의 감각을 깨우고 자신을 다시 세우는 가장 인간적이며 가장 영적인 과정이다.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기자 kjh0788@naver.com
작성 2025.11.13 08:40 수정 2025.11.13 08:40

RSS피드 기사제공처 :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 등록기자: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