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마민주항쟁의 기억, 그림으로 되살아나다

역사와 예술의 만남, ‘시월’이 부산 시민 앞에 첫 선을 보인다

1979년 부마항쟁의 현장을 펜 끝으로 재구성한 그림일지

민주화의 길 위에서 예술이 증언이 되다

 

부마민주항쟁의 기억그림으로 되살아나다

 — 곽영화 작가 『시월』 출판기념회 11월 15일 부산에서 열린다

 

 

오는 2025년 11월 15(), 부산가톨릭센터 공간 101.1에서 곽영화 작가의 『시월』 출판기념회가 열린다이 책은 부마민주항쟁을 주제로 한 그림일지 형식의 역사예술서로항쟁의 현장을 직접 체험하거나 기억하는 이들에게는 회복과 위로의 시간을새로운 세대에게는 민주화의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월』은 1979년 10월 부산과 마산에서 일어난 부마민주항쟁을 그림으로 재구성한 작품이다곽영화 작가는 아직도 아픔을 겪고 계시는 분들께 이 책이 작은 위로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작품 속에는 거리에서 외치는 시민들검거되는 학생들분노와 두려움 속에서도 자유를 향한 열망을 꺾지 않은 사람들의 모습이 생생하게 담겼다.

 

이번 출판기념회는 단순한 출판 행사에 머물지 않는다행사장인 부산가톨릭센터 공간 101.1은 시민들의 기억과 연대의 공간으로 꾸며질 예정이다참석자들은 작가와의 대화작품 낭독원화 전시를 통해 항쟁의 현장을 다시 마주하게 된다. “올바른 사회와 역사를 만든 선배들의 용기에 깊은 감사를 전한다는 곽 작가의 메시지는과거의 희생을 오늘의 책임으로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시월』은 단순한 기록이 아닌 예술적 증언이다텍스트가 아닌 그림으로 역사를 전하는 방식은 젊은 세대에게 더욱 직관적으로 다가간다전문가들은 이 책이 시민 주도의 민주화운동을 예술로 계승한 귀중한 시도라 평가한다향후 전국 순회 전시와 청소년 교육 프로그램 연계도 검토되고 있어부마항쟁의 의미가 더 넓은 세대로 확산될 전망이다.

 

『시월』 출판기념회는 단순히 한 권의 책을 기념하는 자리가 아니다그것은 기억을 지키는 시민의식의 연장선이며예술이 사회를 치유하는 힘을 보여주는 상징적 순간이다.

부마항쟁 46주년을 앞둔 올해곽영화 작가의 붓끝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으로 우리에게 묻는다.

당신은 지금어떤 시월을 살고 있는가?”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기자 kjh0788@naver.com
작성 2025.11.12 10:36 수정 2025.11.12 10:36

RSS피드 기사제공처 :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 등록기자: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