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종로구의 광장시장이 최근 유튜버들의 폭로로 인해 심각한 이미지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이 전통 시장은 오랜 역사와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바가지요금, 불친절한 서비스, 그리고 위생 문제로 소비자들의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들 사이에서는 "나라 망신"이라는 비판이 제기되며, 광장시장이 과연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번 논란은 인기 유튜버들이 광장시장의 실태를 고발하는 영상을 올리면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특정 메뉴의 가격과 구성, 그리고 서비스의 질에 대해 상세히 지적하며, 외국인 관광객에게 부당한 요금을 부과하는 행태를 비판했다. 누리꾼들은 "시장 이미지를 위해서라도 잘 지적했다", "외국인들에게 부끄러운 일이다", "광장시장의 바가지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는 등의 반응을 보이며 공감을 나타냈다. 이러한 폭로는 광장시장에서 오랫동안 지적되어 온 문제들을 다시 수면 위로 끌어올리는 계기가 되었다.
사실, 광장시장의 바가지요금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에는 '1만5000원 모둠전' 사건으로 큰 비판을 받았고, 당시 상인회는 '정량 표시제'와 '카드 결제 허용' 등을 약속하며 개선 의지를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약속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부 가게에서는 정량 표시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거나 카드 결제가 불편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번 유튜버들의 폭로는 이러한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음을 드러내는 사례가 되었다.
상인회 측은 유튜버들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지만, 시민들의 체감과는 괴리가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광장시장은 서울의 주요 관광지로, 많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국 문화를 체험하기 위해 방문하는 곳이다. 그러나 이러한 논란이 계속된다면,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으며, 시장 전체의 이미지와 국가의 이미지까지 실추될 위험이 있다.
단순한 가격 문제를 넘어, 불친절한 태도나 위생 관련 문제까지 더해진다면 시장의 매력은 급격히 떨어질 것이다. 광장시장이 지속적으로 사랑받는 명소로 남기 위해서는 상인들 개개인의 자정 노력과 상인회 차원의 실질적인 관리 감독 강화가 시급해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