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국가 경쟁력의 새 축이 되려면

노규성 원장 “AI는 산업 전반의 게임체인저”

정부, 민간 주도·공공 지원의 실용주의 노선 천명

지역 거점 중심 ‘AI 혁신 생태계’ 구축 시급

정부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전략이 단순한 기술 육성을 넘어 국가 혁신의 중심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생성형AI연구원 노규성 원장은 7일 열린 천안 혁신플랫폼 융합컨퍼런스에서 “정부가 실용주의 노선을 견지하며 AI 3대 강국으로의 도약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2025 천안 혁신플랫폼 융합컨퍼런스에서 한국생성형AI 연구원 노규성 원장이 ‘현정부의 생성형 AI 정책 방향’에 대하여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한류TV서울

 

노규성 원장은 이날 발표에서 “정치·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기술혁신만이 새로운 성장의 돌파구가 될 것”이라며 생성형 AI 정책의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그는 특히 “중앙정부의 정책이 현장에서 실현되려면 지방정부와 산업계, 학계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AI 정책의 성패는 실행력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현 정부는 국정과제 가운데 ‘AI 3대 강국 도약’을 핵심 축으로 삼고 있다. 노 원장은 “미국과 중국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며 주도권 경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한국은 민첩성과 융합역량을 기반으로 경쟁해야 한다”며 “국민의 높은 교육 수준과 빠른 기술 적응력이 우리의 가장 큰 자산”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그는 “AI를 특정 산업의 보조 기술로 볼 것이 아니라, 행정·의료·교육 등 국민 생활 전반에 접목해야 한다”며 ‘생활형 AI’로의 전환을 제안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중앙의 거시 정책과 함께, 천안·대전·광주 등 지역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한 AI 혁신 생태계 조성도 추진 중이다.

 

노 원장은 “민간이 주저할 때 정부가 먼저 길을 열고, 이후에는 민간이 주도하는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며 “AI 생태계는 정부의 단기 프로젝트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국가 전략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천안과학산업진흥원은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지역 기업과 연구기관, 대학이 참여하는 산학연 협력 모델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향후 의료AI, 스마트제조, 데이터 인프라 등 융합분야를 중심으로 지역 혁신 플랫폼 구축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생성형 AI는 더 이상 기술기업의 전유물이 아니다. 정부가 제시한 실용주의 전략이 현장에서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중앙-지방-민간이 함께 움직이는 실행 구조가 필요하다. 천안에서 열린 이번 컨퍼런스는 그러한 변화의 출발점이자, ‘지방시대 AI 혁신’의 현실적 해답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윤교원 대표 / The K Media & Commerce, kyoweon@naver.com
 

작성 2025.11.10 10:03 수정 2025.11.10 11:53

RSS피드 기사제공처 : 이비즈타임즈 / 등록기자: 윤교원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