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냄새로 미리 안다? 조기 인지 시대 열리다”

국립보건연구원, ‘후각 기능’으로 인지 저하 예측 지표 밝혀내

닥터 파킨슨앱·코호트 연구로 맞춤형 관리 체계 강화

질병관리청, 「파킨슨병 바로알기」 카드뉴스로 국민 인식 제고

파킨슨병 바로알기 카드뉴스에서 발췌 - 질병관리청 보건연구원 자료제공

 

 

국립보건연구원이 파킨슨병의 조기 진단과 인지 저하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새로운 연구 성과를 내놓았다.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산하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직무대리 김원호)은 파킨슨병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파킨슨병 바로알기」 카드뉴스를 제작·배포하고, 파킨슨병 환자 코호트 연구의 주요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카드뉴스는 질병관리청 공식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파킨슨병의 대표적 증상과 치료법, 그리고 ‘닥터 파킨슨앱’을 이용한 자가 관리 방법을 안내한다. 닥터 파킨슨앱은 환자와 보호자가 증상 변화를 기록·관리하고, 운동과 약물 복용, 생활 습관을 종합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맞춤형 건강관리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

 

 

후각 기능으로 인지 저하 예측…세계적 연구 성과

 

국립보건연구원은 2021년부터 ‘뇌질환 연구기반 조성 연구사업(BRIDGE)’의 일환으로 파킨슨병 환자 코호트를 구축하고 장기 추적 연구를 수행해왔다.
최근 연구에서는 ‘후각 기능의 변화’가 파킨슨병 환자의 인지 기능 저하 속도를 예측하는 핵심 지표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냄새를 구분하거나 감지하는 능력만으로 인지 기능 악화를 감지할 수 있어, 향후 치매 등 인지장애 위험이 높은 환자를 조기에 선별하고 맞춤형 치료 전략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Neurology(IF 9.6, 2024년 9월호)에 게재되며 세계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국내 환자 4년간 13.9% 증가…고령화와 함께 확대

 

국내 파킨슨병 진료 인원은 2020년 12만5천927명에서 2024년 14만3천441명으로 13.9% 증가했다.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발병률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으며, 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과 사회적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는 등 국가적 보건 문제가 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파킨슨병 관련 진료비는 최근 5년간 매년 약 5.8% 증가해, 2020년에는 5,482억 원에 달했다.

이처럼 파킨슨병의 부담이 커지면서 조기 발견과 예후 예측, 치료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BRIDGE 코호트로 정밀 의료 기반 강화

 

‘BRIDGE’는 Brain Disease Research Infrastructure for Data Gathering and Exploration의 약칭으로, 뇌질환 연구 인프라를 통합·연계해 정밀 진단과 예방·관리 지침을 개발하는 국가 연구사업이다.
현재 서울성모병원을 비롯한 5개 대학병원이 참여하고 있으며, 파킨슨병 환자 약 700명을 대상으로 장기 추적조사가 진행 중이다.

연구팀은 임상·역학 정보, 신경심리검사, 뇌영상(MRI·PET), 유전체 정보(WES) 등 다각도의 데이터를 수집해 한국형 파킨슨병의 특성과 예후 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특히 낙상, 보행장애, 치매 등 주요 합병증의 위험 요인을 예측하는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파킨슨병 바로알기 카드뉴스에서 발췌 - 질병관리청 보건연구원 자료제공

 

 

 

조기 진단과 국민 인식 제고가 핵심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파킨슨병은 고령화 사회에서 빠르게 증가하는 대표적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조기 인지와 체계적 관리가 핵심이다”라며 “코호트 연구와 중재연구를 통해 파킨슨병의 원인을 규명하고 정밀 진단 기술을 발전시켜 국민 건강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앞으로도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연구를 강화하고, 환자와 가족이 질병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정보 접근성을 확대할 방침이다.

 

파킨슨병 바로알기 카드뉴스에서 발췌 - 질병관리청 보건연구원 자료제공

 

 

 

이번 연구를 통해 ‘후각 기능의 변화’라는 간단한 지표로 파킨슨병의 인지 저하를 조기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복잡한 검사 없이도 위험 환자를 선별할 수 있는 실용적 진단 방법으로, 향후 치매 예방과 맞춤형 치료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또한 국민 인식 제고 캠페인과 디지털 관리 도구(닥터 파킨슨앱)의 확산으로 파킨슨병 관리 효율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작성 2025.11.10 06:15 수정 2025.11.10 06:15

RSS피드 기사제공처 : 올리브뉴스(Allrevenews) / 등록기자: 신종기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