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약사회가 추진해 온 한약학과 6년제 전환 논의가 국회 종합감사에서 정부 부처의 긍정적 답변을 이끌어내며 현실화의 물꼬를 텄다.
9일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모두 “전문성 강화와 지역 편중 해소의 필요성에 공감한다”며 제도 개선 논의가 공식 의제로 떠올랐다.
이번 논의는 단순한 학제 개편이 아니라, 한약사의 역할 확대와 한의약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하는 분기점될 전망이다.
한약사회가 수년간 강조해 온 지역 불균형 문제는 특히 심각하다.
현재 전국에서 한약학과는 서울대, 원광대, 경희대 세 곳에, 재학생의 70%가 수도권과 전라권에 편중돼 있다.
이로 인해 강원·충청·경상권의 한약사 수급난이 지속되고 있다.
임채윤 회장은 “현행 4년제 체계로는 국민 건강과 직결된 한약 전문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며 “지역 거점대학을 중심으로 한약학과를 신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한의사 대비 한약사 인력 비율이 10대 1 수준으로 불균형이 심각하다”고 지적하며 6년제 전환의 시급성을 역설했다.
한약사회는 약계 협력을 통한 상생 모델 현재 37개 약학대학 중 한약학과가 설치된 3곳을 제외한 34곳에 한약학과를 신설해 인력 격차 해소가 필요하다.
이는 국민의 안전한 한약 사용과 한의약분업 정착을 위한 기반이라는 설명이다.
전문성 강화와 지역균형, 그리고 직역 간 상생·이번 논의가 한약사제도의 새로운 도약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