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평택시청 서문 앞은 개발 정책, 환경 문제, 행정 절차를 둘러싼 지역 갈등이 잇따르며 연일 시민 집회가 이어지고 있다.
평택시민지역경제살리기비상대책위원회와 평택시지제역강제수용결사반대총연합회는 오는 6일 오전 10시 공동으로 시민 수백 명이 참여하는 집회를 연다.
이들은 “시가 약속했던 환지개발이 무산된 것은 행정의 책임”이라며 “졸속 행정으로 지역경제를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을 하고 있다.
현장에서는 ‘강제수용 중단’, ‘시민 의견 무시 규탄’, ‘정장선 시장은 책임져라’ 등의 구호가 이어졌고, 시청 앞 거리행진도 예고됐다.
집회 관계자는 “행정의 일방적 결정이 지역사회의 불신을 키우고 있다”며 “시민의 삶을 좌우하는 개발 정책에 주민 동의 절차가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고 입장이다.
지난 3월 26일에는 고덕국제신도시 개발 지연에 항의하는 집회가 같은 장소에서 열렸다.
고덕국제신도시 총연합회 소속 주민 100여 명은 “지속적인 민원에도 평택시는 무관심하다”며 변화와 대응을 촉구했다.
이들은 지지성명서를 시청에 직접 전달하며, “개발 계획이 수년째 지연돼 교통·교육·상업시설 모두 정체 상태”라며 “신도시 주민을 외면한 행정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9월 15일에는 포승읍 원정리 주민들과 환경단체 50여 명이 시청 서문 앞에서 수소공장 증설 반대 집회를 열었다.
참가자들은 “공장 증설로 인한 환경오염과 안전 문제, 주민과의 약속 불이행”을 지적하며, “청정에너지 산업이란 명분 아래 주민 피해가 방치되고 있다”고 반발했다.
이들은 “주민 안전이 우선돼야 한다,“며 ”환경영향평가 다시 하라“는 피켓을 들고 시청 진입로 앞에서 1시간가량 시위를 연다.
평택시청 서문은 시민 갈등이 표출되는 상징적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지제역 개발, 고덕신도시 조성, 산업단지 확장 등 잇따르는 대규모 개발사업에 시민단체와 주민들은 ‘행정의 투명성과 신뢰’를 촉구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평택은 급속한 도시 확장과 산업 집중으로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다”며 “시민 갈등이 반복되지 않도록 행정이 사전에 충분한 설명과 소통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