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응급의료와 분만 취약지역 지원을 위해 올해 56억 원을 투입, 도민의 생명안전망을 강화하고 의료 접근성 격차를 해소에 나섰다고 13일 밝혔다.
도는 지난해 10월 동두천중앙성모병원과 양평병원을 취약 거점의료기관으로 지정, 24시간 응급진료 체계를 구축, 지난해 37억6000만 원 대비 18억4000만 원을 추가했다.
이들 병원은 지역 내 유일한 응급실로서, 중증 응급환자 진료 공백을 최소화하고 ‘골든타임’ 내 진료 가능 체계를 유지하고 주민 신뢰를 확보한다.
올해는 가평·동두천·양평·양주 등 4개 의료기관에 응급실 전문의 인건비 32억 원을 지원해 7월 말 기준 2만8832건의 응급환자 진료를 했다.
경기도는 이 사업을 통해 대형병원으로 쏠리던 환자들을 지역 내에서 분산·치료해 응급의료 접근성 향상과 환자 부담 완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올해 처음으로 24억 원 규모의 ‘분만취약지 임산부 원거리 진료 교통비 지원사업’을 시행했다.
가평, 연천, 양평 등 분만시설이 부족한 지역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산전·산후 진료 이동 비용을 지원, 당초 2400명 지원에서 지난달 25일 2626명이 신청해 목표의 109%를 달성했다.
이를 통해 임산부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환경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게 됐으며, “안심 출산환경 조성”이란 지역 의료복지정책의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경기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응급의료 취약지 지원이 도민의 생명권과 건강권 보장을 위한 핵심 공공정책임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응급의료 취약지역 지원은 지속돼야 할 필수 공공서비스”라며 “안정적인 운영으로 경기 동·북부 주민이 안심 응급의료체계를 꾸준히 지켜나가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