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보다 위험한 비도심… 교통사고 사망자 집중 ‘경고등’

최근 10년간 교통사고 분석, 도심은 빈번·비도심은 치명적

차량 1만 대당 사고율, 자치구 69곳이 최다… 그러나 사망률은 군 지역 압도

맞춤형 교통안전 정책 절실… 지역별 차별화된 대책 요구

교통사고는 도심지에서 발생 빈도가 높지만, 사망자는 비도심 지역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의힘 배준영 의원이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10년간(2014년~2023년) 시군구별 차량 1만 대당 교통사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차량 1만 대당 교통사고 건수는 도심 자치구 지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출처: 챗gpt 이미지]

통계에 따르면 69개 자치구의 평균 사고 발생 건수는 차량 1만 대당 81.61건으로 전국 최고 수준이었다. 그러나 사망자 수를 살펴보면 상황은 정반대다. 사망자는 도심이 아닌 군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했으며, 82개 자치 군의 평균 사망자 수는 3.45명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도심과 비도심의 교통 환경 차이가 원인으로 꼽힌다. 도심은 교통량이 많아 사고 발생 건수 자체는 잦지만, 신속한 응급의료체계와 교통안전 인프라가 갖춰져 있어 치명률이 낮다. 반면 비도심 지역은 도로 구조가 열악하고 응급 대응 속도가 늦어 사망률이 크게 높아지는 구조적 문제가 드러난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교통사고 예방 정책은 단순히 발생 빈도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사망률과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방 군 단위 도로는 가로등 설치가 부족하고, 고속 주행이 잦아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배 의원 역시 “교통사고 예방은 단순한 사고 건수 감소가 아니라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것이 목적”이라며 “지역별로 차별화된 교통안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심은 사고는 잦지만 비교적 안전망이 확보된 반면, 비도심은 사고 한 건이 곧 치명적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교통안전 정책의 방향은 단순 건수 감소에서 벗어나, 사망자를 줄이는 ‘실질적 안전 확보’로 전환되어야 한다.

 

 

 

 

 

 

 

 

 

 

작성 2025.09.28 11:07 수정 2025.09.28 11:19

RSS피드 기사제공처 : 라이프타임뉴스 / 등록기자: 이주연 정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