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C녹십자(대표 허은철)가 코로나19 mRNA 백신 후보 물질 ‘GC4006A’의 국내 임상 1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국내 mRNA 백신 개발의 자립화에 중요한 진전을 알리는 소식으로 주목된다.
GC녹십자의 GC4006A는 지난 4월 질병관리청(질병청)이 주관하는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에 선정되며 개발에 속도가 붙었다. 질병청이 오는 2028년까지 mRNA 백신 국산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GC녹십자 또한 이번 개발에 회사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측은 이번 임상 1상을 통해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GC4006A의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GC녹십자는 연내 임상 1상 IND 승인을 기대하고 있으며, 내년 초 첫 투약이 개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앞서 진행된 비임상시험 결과에서는 GC4006A가 기존 상용 백신과 유사한 수준의 항체를 생성하는 체액성 면역 반응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감염 세포를 공격하는 세포성 면역 반응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확인됐다. 이는 백신의 효능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GC4006A는 GC녹십자가 자체적으로 구축한 mRNA-LNP(Lipid Nanoparticle) 플랫폼의 성과물이다. GC녹십자는 2019년부터 mRNA-LNP 연구를 본격화하여, mRNA 의약품 개발의 전 공정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했다. 회사 측은 이번 임상을 통해 독자적인 플랫폼이 검증되면 새로운 팬데믹 발생 시 100일 이내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재욱 GC녹십자 R&D부문장은 “국내 제약사 중 mRNA 의약품 개발을 위한 end-to-end 공정을 내재화한 것은 GC녹십자가 처음”이라고 강조하며, “코로나19 mRNA 백신을 시작으로 해당 플랫폼을 다양한 질환 영역으로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GC녹십자는 mRNA-LNP 플랫폼을 활용하여 △희귀 유전 질환 △만성 염증 질환 △항암 면역 치료제 △백신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으로 연구를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해당 플랫폼을 활용한 글로벌 제약사와의 공동 개발 및 기술 이전 가능성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있어, 미래 신약 개발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