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복지·돌봄 서비스 혁신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복지부는 9월 10일 오후 서울과 세종을 연결해 「AI 복지·돌봄 혁신 추진단」 제2차 회의를 열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 방안과 2026년 예산 활용 계획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8월 추진단 출범 이후 두 번째 회의로, 이스란 제1차관이 직접 주재했다. 회의에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중앙사회서비스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인재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유관 기관 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했다.

특히 이번 회의부터는 AI 복지 전문인력 양성과 현장 종사자 중심의 디지털 이해도 제고를 위한 논의가 본격화됐다. 또한 장기요양 재가수급자에게 제공되는 복지용구 사업의 개선과 AI 접목 가능성도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보건복지부는 2026년 예산에서 AI 기반 복지·돌봄 분야에 총 359억 원을 반영했다. 세부적으로 ▲AI 상담 및 위기 감지, 사회복지시설 AI 접목 시범사업 59억 원, ▲복지·돌봄 AI 응용제품 상용화 지원 프로그램 ‘AX-Sprint’ 300억 원이 신규 편성됐다. 복지부는 이번 투자가 국민의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AI 돌봄 혁신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추진단은 내년 상반기 「AI 복지·돌봄 혁신 로드맵」 발표를 목표로 기초 연구를 진행 중이다. 연구 과정에서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반별 핵심 과제와 우선순위를 확정할 계획이다.
이스란 제1차관은 회의에서 “AI 기술은 단순한 자동화 도구를 넘어 취약계층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라며 “국민이 변화를 직접 체감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추진해, AI와 사람이 조화되는 복지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요약 및 기대효과
이번 제2차 추진단 회의를 계기로 복지부는 AI 기반의 복지·돌봄 혁신을 한층 구체화했다. 대규모 예산 투입과 전문 인력 양성, 현장 맞춤 기술개발을 통해 국민이 실제 생활에서 느낄 수 있는 성과를 조기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결론
AI 복지·돌봄 혁신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복지 정책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는 예산 확보와 체계적 로드맵을 토대로 국민이 안심하고 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AI 기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