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거레이트 핑거봇 축제와 관광 현장을 혁신하는 데이터 기반 설문·홍보 플랫폼

앱과 키오스크를 통한 실시간 설문조사·홍보·리워드 시스템, 축제·관광·기업에 새로운 해법 제시

 

지자체와 기관들이 주최하는 축제와 관광행사에서 가장 큰 고민은 방문객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수집하면서 동시에 지역 홍보와 참여율을 높이는 일이다. 

 

기존의 종이 설문이나 QR코드 방식은 참여율이 낮고 데이터 활용도도 떨어져 행사 평가와 정책 개선에 어려움이 많았다. 

AD / 본 내용은 컬쳐엔의 협찬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핑거레이트(FingeRate)’ 플랫폼이다. 

핑거레이트는 모바일 기반의 ‘핑거레이트 앱’과 현장 키오스크 ‘핑거봇(FingeBot)’을 결합해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새로운 형태의 설문·홍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앱은 메타버스 기반의 가상봇을 활용해 축제나 관광지 홍보와 동시에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참여자에게 쿠폰이나 할인권 등 리워드를 제공해 참여율을 높인다. 

춘천여행자의 집 핑거봇 / 현재운영중

예를 들어 지역 축제를 홍보하기 위해 도심 곳곳에 가상봇을 배치하고 사전 설문을 진행하면 시민들은 앱을 통해 쉽게 참여하고 보상을 받아 자연스럽게 축제 정보에 노출된다. 

현장에서는 핑거봇이 방문객과 직접 만난다. 

손가락 제스처로 간단히 응답할 수 있고, AI 동작인식과 안면인식 기술을 통해 설문 참여 여부와 관계없이 성별, 연령대, 시간대별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한다. 

이 데이터는 관리자 대시보드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지자체 담당자는 행사 운영 개선이나 방문객 만족도 분석, 정책 보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핑거레이트의 장점은 축제와 관광에 국한되지 않는다. 

스포츠 박람회나 전시장 같은 대형 이벤트 현장에서도 관람객 의견을 실시간으로 수집해 참가기업과 주최 측이 필요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으며, 부스를 방문한 사람들에게 즉시 쿠폰이나 기념품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판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기업의 신제품 출시 행사나 프로모션 현장에서도 핑거봇을 통해 체험 후 만족도를 조사하고, 리워드로 재구매를 유도하는 등 마케팅 성과를 높일 수 있어 민간 기업의 활용 가능성도 크다. 

핑거레이트 앱

실제 사례로 춘천 소양강 스카이워크, 화천 산천어축제 등에서 도입했으며 이것을 활용해 지역의 홍보 및 축제의 홍보를 병행해 설문을 진행하여 `데이터 확보’와 지역경제 활성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진행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컬쳐엔 관계자는 “핑거레이트는 단순한 설문조사 도구가 아니라 지자체, 기관, 기업이 데이터 기반으로 홍보와 행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플랫폼”이라며 “향후 축제와 관광은 물론 스포츠 행사, 박람회, 전시장, 기업 판촉행사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적용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작성 2025.09.08 12:32 수정 2025.09.16 14:13

RSS피드 기사제공처 : 컬쳐플러스뉴스 / 등록기자: 박철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