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일본의 고립·은둔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했던 ‘고립·은둔 지원에 관한 한·일 협력 포럼’이 지난 9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의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포럼은 양국의 지속적인 교류와 지역 특성에 맞는 사회적 네트워크 구축이 고립·은둔 문제 해결에 필수적이라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계기가 됐다.
지속가능경영재단 주관으로 열린 이번 포럼에는 100여 명의 민·관·학 관계자와 지역 주민이 참석했다. 첫째 날인 9월 4일에는 세 가지 세션을 통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책 제언이 쏟아졌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고립·은둔 지원 체계 발전 방안'을 주제로 안태윤 지속가능경영재단 전문위원과 마츠우라 타쿠로 일본 요코하마시 과장이 지자체 중심의 원스톱 상담 지원 체계 사례를 소개했다. 토론자들은 한국 또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민간 기관과의 협력적 전달체계를 제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세션 '고립·은둔 청년 공동생활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서는 모세종 지속가능경영재단 본부장과 무타 미추오 일본 사무국장이 민간 주도형 공동생활 지원 모델의 효과를 발표하며 주목받았다. 경기도청 주택정책과 관계자 및 민간 전문가들은 청년 주거 지원 정책과 고립·은둔 정책의 연계를 강화하고, 단순한 주거 제공을 넘어 심리·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을 결합한 '경기도형 공동생활 모델'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마지막 '고립·은둔 중장년 지원 방안' 세션에서는 박규범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과 일본 보솟토 이케이다 이사장이 80대 부모와 50대 자녀가 함께 고립되는 이른바 '8050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당사자 맞춤형 지원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박규범 연구위원은 경기도 내 중장년 고립·은둔 문제의 실태 파악이 시급하며 생애주기별 지원 정책 설계를 제안했다.
이튿날인 9월 5일에는 '한·일 고립·은둔 민간기관 교류회'가 열려 양국의 현장 활동가들이 각자의 경험을 공유하고 국경을 넘어선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약속하며 '한·일 고립·은둔 지원 협력 선언문'을 낭독했다.
황선희 지속가능경영재단 이사장은 "이번 포럼은 고립·은둔이라는 보이지 않는 위기에 맞서 한·일 양국이 연대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논의된 내용들이 경기도 정책에 반영돼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후속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