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는 2026년 예산안을 7조 7,962억 원으로 확정했다. 이는 2025년 대비 7,290억 원, 10.3퍼센트 늘어난 규모로 2020년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이다. 문체부는 이번 예산을 통해 케이 컬처 성장과 국민 향유 기회 확대를 동시에 추진한다.
예산은 문화예술 2조 6,388억 원, 콘텐츠 1조 6,103억 원, 관광 1조 4,740억 원, 체육 1조 6,795억 원, 기타 3,936억 원으로 나뉜다. 특히 콘텐츠 부문은 26.5퍼센트 늘어난 1조 6,103억 원으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문체부는 예산을 세 가지 전략에 중점적으로 배분했다. 첫째 케이 컬처 300조 원 시대 개막을 위한 콘텐츠산업 국가전략산업화 추진, 둘째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예술창작 복지 강화, 셋째 국민 모두가 즐기는 스포츠와 관광 환경 조성이다.
콘텐츠 분야에서는 케이팝 수요에 대응해 중대형 공연형 아레나 구축 연구를 새로 시작한다. 또한 콘텐츠 인공지능 제작 지원을 80억 원에서 238억 원으로 늘리고 인공지능 특화 콘텐츠 아카데미를 신설해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케이 콘텐츠 펀드 출자는 2,950억 원에서 4,650억 원으로 확대된다.
문화예술 분야에서는 예술산업 금융지원과 예술인 복지금고를 신설하고 청년예술인을 위한 창작자 지원 사업을 180억 원 규모로 새롭게 마련했다. 케이 뮤지컬 지원은 31억 원에서 241억 원으로 대폭 늘리고 케이 문학 지원도 206억 원으로 확대한다. 지역 공연과 전시 유통 지원 역시 971억 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관광과 스포츠 분야에서는 금융지원과 인프라 확충에 중점을 두었다. 관광산업 금융지원은 7,135억 원으로 늘어나고 지역사랑 휴가지원제와 케이 푸드로드 문화관광 활성화 사업 같은 신규 사업이 포함됐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어르신 대상 프로그램 지원이 신설되고 공공체육시설 개보수 예산이 883억 원으로 확대됐다.
또한 국민 누구나 소외되지 않도록 맞춤형 지원도 강화된다. 통합문화이용권은 연간 15만 원으로 늘어나고 청년문화예술패스는 대상과 금액이 확대된다. 반다비 체육센터 지원도 강화되며 무장애 관광 환경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관광 프로그램이 확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