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유엔 기후주간, 아시아 중심의 국제 협력 새 장 열린다”

대한민국, 아시아 대표 기후 논의의 허브 도전…기후주간 유치 도시 공모 돌입

탄소중립·녹색전환 의지 공유…지자체 역량과 지속가능성 핵심 평가 기준

UNFCCC 기후주간, 국내 도시 선정 공모 시작…기후행동 선도할 주체는 누구?

유엔기후변화협약 기후주간 개최도시 공모(출처: ChatGPT로 생성한 이미지)

환경부가 2026년 상반기 개최 예정인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기후주간의 국내 유치를 본격화하며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개최 도시 선정 공모에 착수했다. 공모는 9월 1일부터 15일까지 2주간 진행된다.

 

기후주간은 전 세계 각국의 정부, 국제기구, 기업, 시민사회 등이 참여해 기후위기 대응 및 파리협정 이행 가속화를 위한 실행 방안을 논의하는 대형 국제행사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이행, 기후 적응, 탄소시장 구축, 기후재정, 정의로운 전환 등 핵심 의제가 집중 조명된다.

 

UNFCCC 사무국은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 두 차례에 걸쳐 기후주간을 개최하고 있으며, 올해 5월에는 파나마의 수도 파나마시티에서, 오는 9월에는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행사가 열린다.

 

환경부는 이번 공모를 통해 선정된 도시와 협력하여 2026년 아시아 지역의 기후주간을 성공적으로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한국은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아시아의 전략적 리더십을 확보하고, 탄소중립과 녹색문명 전환 의지를 국제사회에 천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려 한다.

 

선정 기준은 단순한 행사 수용 능력을 넘어서, 지속가능성과 지역사회 참여 기반, 접근성, 인프라 수준 등으로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해당 도시가 얼마나 적극적으로 기후행동에 참여하고 있는지, 시민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본다.

 

정은해 환경부 국제협력관은 “기후주간은 단순한 컨퍼런스를 넘어, 전 세계가 기후위기 해결을 위해 공동목표를 다지는 의미 있는 기회”라며, “많은 지자체가 관심을 가지고 참여해 대한민국이 국제사회 기후 논의의 중심 무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함께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6년 유엔기후변화협약 기후주간 개최를 둘러싼 도시 선정 경쟁은 기후위기 앞에 대한민국이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에 대한 선언이자, 각 지자체가 환경정책을 중심으로 지역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정부와 지역, 시민사회가 함께 만들어나가는 기후행동의 미래가 기대된다.

 

 

 

작성 2025.08.31 23:19 수정 2025.08.31 23:27

RSS피드 기사제공처 : 볕뉘뉴스 / 등록기자: 볕뉘생태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