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청년이 어느 날 부터 매일 아침마다 동네에서 플라스틱 병과 종이, 유리 등을 분리 수거하며 재활용의 중요성을 알리고
져 노력한 청년은 마을 사람들이 폐기물을 얼마나 발생하는지 궁금증이 생겼다.
그 청년은 3일 동안 마을 사람들이 버리는 폐기물의 양을 측정 기록했다. 그 결과
마을에서 버리는 폐기물 발생량이 평균 100kg 으로 그 중 재활용할 수 있는 폐기물중 절반이 재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했
다.


그는 모든 마을 사람에게 그 결과를 알렸다. 그리고 그 청년은 모두가 3일 동안 더 열심히 재활용하면, 마을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고 하였다. 그렇지만 마을 사람들은 자신들과 상관없다는 투로 생각하고, 반응도 없었다.
그래서 청년은 다른 방법으로 썻는데 마을 사람들을 초대하여 흥미로운 이야기를 하려고 계획을 세웠다.
청년은 마을 사람들 앞에서 제안을 한 내용은 3일 동안 폐기물을 줄인다면 마을이 매우 아름다워 진다고 하였다.
이에 마을사람들은 어떤 방법으로 대회에 참여하여야 할지를 가르쳐주었고 재활용용도가 어떻게 사용하는지
작은 실천이 큰 변화로 가져올 수 있다고 설명 강조하였다. 그리고 청년은 3일 동안 할 수 있는 몇 가지 도전 과제를 제안
했다. 플라스틱 사용줄이기,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재활용 캠페인 참여하기 등이었다. 사람들은 그가 하는 말에 관심을 가지
가지고 함께 하자고 하였다. 서로가 독려하며 솔선수범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그 후 3일 후 그들은 버리는 폐기물의 양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고 느꼈으며 , 무엇보다도 마을이 변하는 모습을 보았다, 꽃과 나무들이 생기가 있었고, 청년의 노력으
로 마을은 점점 깨끗해졌다.


이는 우리가 주변 환경을 개선하는데 작은 노력들이 보여 준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상기시킨 사례로 지속적인 마음
가짐과 참여가 필요하다는 교훈으로 작은 실천이 모여서 기적을 이루어 낼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독일의 작은 생태도시 환경중심도시의 인구 20만 독일프라이브루크 시는 일회용 프라스틱 병이나 유리를 일종의 키오스크
넣어 처리하면 일종의 키오스크는 재질, 중량, 용도, 품질등을 분석하여 소비자에게 회수 가산점을 준다. 이 가산점은
주1회 현금화 하며 평균 폐기물 처리로 2만5천원에서 3만원의 수입을 수용한다.
사용하도록 시스템화 하였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일회용컵을 나라에서 400회 가량 사용하도록 야무지게 만들었고
언제든지 지정된 가맹점에 가 렌트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자신의 컵을 가맹점에 가지고 오면 1유로를
보상해주었다.
따라서 다른 이용자들이 사용하던 컵에 대해서 이의제기를 하지 않았다. 얼마나 환경을 사랑하는 지혜롭고 슬기로운 생활
의 지혜라는 생각이다.
한 가지 이 도시는 환경수도의 별명에 부합되도록 대중 교통은 대부분의 시민들은 자전거를 이용한다. 자동차 는 업무용
차량외엔 시내 진입이 금지되어 있어, 저전거의 트램이 주요 교통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 도시의 환경정책은 기후변화로 인한 정책에 뜻깊은 의미있는 시사점을 주고있다.
소비생활환경 의식전환 사고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너나 나나 할 수 없는 지구촌에 사는 모든 사람들의 의무로
소비생활 의식전환 각성이 그때 그때마다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