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피로를 극복하는 가장 과학적인 방법은

알아두면 득이 되는 의학 정보

픽사 월드 -이미지

충분히 쉬었는데도 몸이 무겁고 피곤하며, 집중력과 기억력이 떨어지는 만성 피로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체력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뇌가 충분히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최근 연구들은 만성 피로의 핵심 원인 중 하나로 '뇌의 휴식 부족'을 지목하며, 수면의 질을 높이는 것이 만성 피로를 극복하는 가장 과학적인 방법이라고 강조한다.

 

수면은 뇌의 '대청소' 시간

 

우리가 잠을 자는 동안 뇌는 낮 동안 쌓인 노폐물인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등을 제거하고, 손상된 신경 세포를 복구하는 '대청소' 과정을 거친다. 특히 깊은 수면 단계인 렘수면(REM)과 비렘수면(NREM)이 반복되면서 뇌는 재정비되고, 다음 날을 위한 에너지를 충전하게 된다. 그러나 늦은 밤까지 이어지는 스마트폰 사용, 불규칙한 수면 습관은 뇌의 정상적인 휴식 과정을 방해하여 만성 피로를 심화시킨다.

 

만성 피로를 이겨내는 3가지 수면 원칙

 

만성 피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뇌에 충분한 휴식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한 3가지 수면 원칙은 다음과 같다.

 

규칙적인 수면 습관: 매일 같은 시간에 잠자리에 들고 일어나는 규칙적인 생활 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말에 몰아 자는 '보상 수면'은 오히려 생체 리듬을 깨뜨려 만성 피로를 악화시킬 수 있다.

 

수면 환경 조성: 잠들기 1~2시간 전부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전자기기 사용을 자제하고, 조명을 어둡게 하는 등 수면을 유도하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따뜻한 물로 샤워하거나 명상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낮잠은 짧고 굵게: 낮잠은 30분 이내로 짧게 자는 것이 좋다. 너무 긴 낮잠은 밤 수면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만성 피로가 6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단순한 피로가 아닌 만성 피로 증후군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전문의와 상담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작성 2025.08.28 14:53 수정 2025.08.28 14:56

RSS피드 기사제공처 : 메디컬라이프 / 등록기자: 김유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